사설

전국 시·군·구 중 분만·응급 의료 취약지의 절반가량은 지방인 것으로 드러났다. 충남·북 시·군·구도 여기서 예외는 아니다. 전국 시·군·구 250곳을 대상으로 분만 의료 접근성 등을 분석한 결과 43.2%(108곳)가 분만 의료 취약지로 분류됐다. 국립중앙의료원의 ’2022년 의료 취약지 모니터링 연구‘ 보고서에서다. 분만·응급 의료 취약지란 분만과 응급 치료가 가능한 병원이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을 일컫는다. 우리나라 기초지자체의 절반 가까이가 대표적 필수의료 분야인 분만과 응급 의료 취약지인 셈이다.

중앙의료원은 15~49세 가임 인구가 분만실에 도착할 때까지 걸린 시간이 60분을 넘은 비율 등을 기준으로 취약성을 A·B·C 등급으로 나눴다. 가장 취약한 A 등급은 30곳, B 등급은 17곳, C 등급은 61곳이었다. 충남 13곳, 충북 10곳이 취약지에 포함됐다. 보고서가 보여주듯 시골지역은 산부인과를 찾기 어렵다. 응급의료도 실정은 비슷하다. 권역응급의료센터에 1시간 이내 또는 지역응급의료센터에 30분 이내 도달이 불가능한 인구가 30% 이상인 응급 의료 취약지가 250개 시·군·구 중 39.2%인 98곳이나 된다.

충남의 중증외상·심뇌혈관 응급 환자의 관내 의료기관 이송률은 76.1%에 그친다. 나머지는 타 지역으로 이송됐다는 얘기다. 119구급대가 소방관서에서 출동해 현장을 거쳐 의료기관에 도착하기까지 서울은 6.7㎞인데 충남은 20㎞로 훨씬 길다. 충북 괴산군·영동군, 충남 금산군·태안군은 소아청소년과 취약지다.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이 상기된다. 의료 인력 및 시설의 수도권 쏠림현상과 무관치 않다. 우리나라 의사의 64%는 수도권에서 근무하고 있다.

의료분야 대부분 수치가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를 말해준다. 이러니 지방의 환자는 수도권 대형병원을 전전하기 일쑤다. 때마침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단순히 의사 숫자만을 늘려선 안 된다. 지방의 의료붕괴를 막을 특단의 대책이 긴요하다. 중앙의료원의 보고서를 음미해 보기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