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위 국감서 의대 정원 확대 등 질의
충남대·충북대 병원장, 확대 필요성 입 모아
[충청투데이 김성준 기자] 의대 정원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충남대병원과 충북대병원 대상 국정감사에서 의대 정원 확대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18일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의 충북대·충북대병원, 충남대·충남대병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최영석 충북대병원장과 조강희 충남대병원장이 의대 정원 확대 필요성에 입을 모았다.
도종환 의원(민주당)은 "충북도민의 기대수명은 전국 17개 시·도 중 최하위고 치료 가능 사망률은 전국에서 가장 높다"며 "충북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 현황으로 보면 1.6명으로 전국 평균 1.9명보다 낮고 가장 높은 서울과의 격차는 1.8명이나 되는데, 지역에 의료인력 자체가 부족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의료여건 개선 전제조건은 충분한 의료인력 확보라고 보는데, 충북 지역 의과대 학생 정원은 충분한 상황인가"라고 질의했다.
김남국 의원(무소속)도 "의사 인력 확충을 위해 충남대병원장과 충북대병원장이 대통령을 만나면 의대 정원 확대를 강하게 요청하라"고 강조했다.
조강희 충남대병원장과 최영석 충북대병원장은 의대 정원 확대 필요성을 묻는 질의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의견을 같이 했다.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충원율 등 소아 의료 체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국회 교육위원회 간사 이태규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전국 9개 지방 국립대병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충원율은 10%에 불과했다.
소아청소과 계약직 의사는 크게 늘었는데, 충남대병원의 경우 2019년 3명에서 올해 9월 기준 19명까지 늘었다.
이 의원은 "단기간 근무하고 병원을 떠나는 계약직 의사 비중이 커질수록 국립대병원 연구 및 교육, 치료 등 의료 역량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소위 돈이 안되고 고된 필수 의료에 대한 젊은 의사들의 기피가 심화됨에 따라 지역 의료의 구심점이 되는 국립대병원마저 소아청소년 의료체계가 무너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김성준 기자 junea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