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계획 환영
김 지사 "지방의료 재건 초점 맞춰야" 주장
충남 인구 1000명당 의사수 1.5명 불과
충남 국립의대는 대통령 공약 강조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를 추진하는 가운데, 김태흠 충남지사가 도내 국립의대 신설을 강력히 주장하고 나섰다.
김 지사는 19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의대 정원 1000명 증원 계획을 적극 환영한다”며 “지방의대 붕괴 현실에서 의대 정원 확대는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다”고 운을 뗐다.
이어 “충남을 포함한 지방은 거대한 ‘의료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지방에서는 응급실을 찾아 헤매다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일이 끊이질 않고 수백만명이 수도권으로 ‘원정치료’를 떠나는 답답한 실정이다”고 덧붙였다.
현재 전국 의대 정원은 3058명으로 2006년부터 18년째 동결돼 있다.
오랜 기간 의대 정원이 그대로이면서 한국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2021년 기준 2.6명으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원국 중 멕시코(2.5명) 다음으로 적다.
특히 충남은 이보다 적은 1.5명에 불과해 국내에서도 더욱 의료 인프라가 취약한 실정이다.
홍성 1.33명, 서천 1.15명, 보령 1.03명, 서산 1.02명, 당진 0.97명, 예산 0.93명, 청양 0.9명, 태안 0.87명 등 서해안권은 충남 내에서도 열악하다.
또 충남은 전남, 경북과 함께 지역 내 국립의대가 없다 보니 지역에서 일할 의료인을 양성하기가 더욱 어렵다.
물론 단국대와 순천향대 등 사립의대가 2곳 있지만, 서동용 국회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공받은 자료를 보면 2017~2021년 충남 의대 졸업자의 32.1%만 충남에서 취업했다.
공공성이 높은 국립의대가 있어야 지역 의사를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김 지사 또한 이날 의대 정원 확대와 함께 충남 국립의대 신설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김 지사는 “도민의 생사가 걸린 일”이라며 “이번 개혁은 단순히 의사 수만 늘려선 안 되고 지방에 국립의대를 설치하는 등 지방의료 재건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충남 국립의대 신설은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하다”며 “지난해에도 대통령과 독대해 말씀드렸고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고 강조했다.
지역의사제와 관해선 신중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지방에서 배웠다고 지방에만 있어야 하면 경직되지 않을까 싶다”며 “의사들이 충남에 정착할 수 있게 기반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