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월까지 학내외 10만인 서명운동
유관기관 협의 거쳐 이달 계획서 제출
교육계 안팎 “지역 정치권도 힘 보태야”
설립땐 인재 유출·원정 진료 해결 기대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충남대학교가 치과대학·병원 설립을 위한 활동을 본격화했다.
지역 내 치과대학의 부재로 야기되고 있는 인재 유출과 수도권 원정 진료 등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취지다.
1일 충남대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11개 치과대학이 운영 중이지만 대전과, 세종, 충북 등 3개 시·도에는 설립되지 못했다.
사실상 대전과 세종, 충북 지역의 대입생들이 치과의사를 목표로 한다면 타 지역으로 향해야 하는 구조다.
앞으로도 고령화과 구강 만성질환 증가로 인해 치의료 수요가 늘 것으로 예측되지만 지역 내에선 관련 분야 인재를 자생적으로 키워낼 수 없다.
특히 지역 대입생이 타 지역 치과대학으로 향할 경우 지역인재특별전형에 따른 혜택에서도 배제될 수밖에 없어 입시에서도 영향을 받고 있다.
충남대는 이로 인해 인재 유출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수도권 상급병원으로의 치과 원정 진료 문제도 당위성 중 하나로 꼽고 있다.
치과대학 설립을 통해 지역 내 공공 치의료 서비스를 개선하고 대전 첨단 전략산업과 치의학을 연계해 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겠다는 판단이다.
최근 이진숙 총장이 국정감사 현장에서 치과대학의 설립 당위성을 피력한 데 이어 충남대는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 상태다.
지난달 28일부터 학내외 온오프라인 10만인 서명운동이 시작됐으며 내년 2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또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등 유관기관과의 협의가 지속 중이며 이달 말 치과대학 설립 계획서를 교육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교육계 안팎에선 치과대학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과 당위성이 충분한 만큼 지역 정치권이 힘을 보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미 지난 6·1지방선거에서도 치과대학 신설 문제가 화두에 오른 바 있다.
현시점에서는 정치권을 중심으로 의대 정원 증원 논의가 지속되고 있으며 치과대학 신설 역시 협의를 위한 적기로 판단되고 있다.
충남대 관계자는 “대전 첨단산업과 융합된 치과의사 양성과 치의학 분야의 글로벌 전문 인력 유치, 치의학 분야 통합 의료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 등 여러 비전을 갖고 있다”며 “앞으로 시민들의 공감대도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