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대전 문화시설 인프라, 무조건 늘리는 게 능사인가
中. 신규시설에 수천억, 있는 시설도 제대로 활용 못해
대전문학관·테미오래 등 보유시설 활용 100% 못하는 상황
市 신규 문화시설 건립 사업에 지방비 수천억원 투입 계획
공연 관계자 “기존시설 내실 있게 운영하는 것 더 중요” 지적

대전 문화시설. 그래픽=김연아 기자
대전 문화시설. 그래픽=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대전시가 신규 문화시설 건립 사업에 지방비 수 천억원을 투입할 계획인 가운데 기존 인프라에 대한 운영실태를 우선 진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보유하고 있는 시설도 100% 활용하지 못하거나 실적이 저조한 상황에서 자칫 ‘빛 좋은 개살구’가 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올해 개관 11주년을 맞이한 대전문학관이 대표적인 케이스다.

대전문학관의 올 상반기 문학 교육 수료인원은 총 105명이다.

회당 수강생이 평균 3명도 채 되지 않는다. 상설 전시 일일 평균 관람객은 단 15명에 그친다.

동구 용전동에 위치한 대전문학관은 그간 접근성이 떨어지고, 시민 인지도가 낮아 전시·프로그램의 퀄리티와 홍보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제6대 관장을 역임한 박진용 전 대전문학관장은 "현 문학관이 주차장이 협소해 관광버스가 도로에 정차해 있어야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렇다 보니 관람객들이 시간에 쫓기듯 관람하고 급하게 나가야 했다"며 "제2문학관 부지 역시 접근성이 좋지 않아 걱정이 된다"고 전했다. 제2문학관이 조성되는 현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 또한 주차공간이 협소하고, 대중교통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2019년 옛 충남도지사공관 및 관사촌을 문화거점으로 꾸며 개관한 테미오래 역시 역사적 상징성과 가치에 비해 활용도가 낮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테미오래는 개관 초기부터 운영주체 간 갈등으로 장기적인 콘텐츠 기획과 운영에 차질을 빚으며 시작했다.

그러다 지난해부터 대전문화재단이 수탁해 가까스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시민은 물론 지역 예술인들의 참여가 적어 외연확장에 어려움을 겪는 중이며 코로나19 이후 침체기는 더욱 심화됐다. 대전문화재단이 대전문학관 등 이미 다른 기관까지 과도하게 수탁운영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고, 결국 시 하부기관처럼 운영 될 수밖에 없다.

최근 제작오페라 공연취소사태를 겪은 대전예술의전당 또한 법인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크게는 비슷한 이유다. 시 사업소인 대전예당은 객석점유율은 비교적 높으나 대표 공연장인 아트홀 가동률이 120여 회(약 33%, 9월 기준)로 저조한 상태다.

실제 공공데이터포털에 따르면 대전지역 공연장은 총 61개소(9월 기준)인데 이 중 공공주체가 29개소로 절반 가까이 차지한다. 그럼에도 공연장 가동률과 효율적인 경영을 위한 지자체 관리 감독 시스템은 미흡하다. 대관 심사 경합 경쟁도 특정 공연장을 중심으로만 쏠려 있다. 공연 관계자들은 신규 공연장 건립도 좋지만 일단 가동률 양극화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단순히 공연장을 몇 개 확보하고 있는 지 보단 공연장 건립 방향이나 목적성, 운영시스템 등 기존 시설을 보다 내실 있게 운영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다.

한 공연 관계자는 "국민의 세금으로 설립된 공연장엔 책임이 따른다는 것을 명확히 인지해야 한다"며 "단순히 시설만 건립해 놓고 지금처럼 관리 감독 없이 방치한다면 앞으로 새로운 공연장이 조성 돼도 무대로서 가치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시스템이 부재한 문화시설에 시민은 찾지 않을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