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치과의사 국가 실기시험에 응시한 예비 치과의사들이 시험실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치과의사 국가 실기시험에 응시한 예비 치과의사들이 시험실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립 치과대학 설치에 있어 충청권은 늘 배제돼 왔다. 필요성을 인지하면서도 충청권 국립 치과대학 설치는 정치권에서 늘 외면당해 왔다. 강원권, 호남권, 경상권에는 있는 국립 치과대학이 충청권에 설치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아무도 그 이유를 정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1994년 강릉대 치과대학 설립을 마지막으로 충청권을 제외하고 내륙 모든 권역에 국립 치과대학이 들어섰지만 충청권은 그 이후로 30년째 깜깜 무소식이다. 충청권 홀대론으로 치부하기에는 석연치 않은 측면이 있다.

더욱 이해할 수 없는 것은 호남권에는 국립 치과대학 2곳 등 총 4곳의 치과대학이 있지만 충청권에는 국립 치과대학은 전무하고 사립 치과대학이 1곳 존재하지만 이마저도 수도권에 대학본부를 둔 캠퍼스여서 지역 고교생 선발은 시행하지 않는 사실상의 치과대학 불모지다. 충청권 지역 치과 인재양성 불균형이라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이는 곧 충청권역민들의 치과 의료서비스 질적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지 못하고 있다.

2021년 한해 치과진료 실인원이 233만 8143건으로 치과의사 1인당 진료는 평균 970건이라고 한다. 이는 수도권 832건, 대구·경북 916건, 호남 845건, 부산·울산·경남 912건보다 높은 수치다. 이마저도 타지역 치과대학들의 분원이 생겨 그나마 선방한 수치라고 하니 이래도 되나 싶다. 충청권내 치과 진료 가운데 큰 수술이 필요할 경우 지역내 의사가 매우 드물어 타지역으로 가야하는 것은 당연지사고 타 과와의 협진은 기대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한다.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몇년전부터 지역 정치권에서는 충청권 국립 치과대학 신설의 필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말뿐이다. 문제 인식을 뛰어넘어 이제는 실천에 옮길 때다. 지역 구성원들의 공감대 형성은 기본, 절대적으로 충청권에 치과대학 신설이 필요하다는 논리가 구체적이어야 한다. 최근 대전에서는 충남대를 중심으로 치과대학 신설 움직임에 활 시위가 당겨지고 있다. 대전시도 협력하겠다고 한다. 이번 기회를 놓쳐서는 안될 것이다. 의료서비스는 대한민국 국민 누구에게나 동등해야만 한다. 충청권 패싱이 아니라는 것을 중앙정부가 보여줘야 할 때다. 더 늦출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라.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