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23년 참전명예수당 관련 통계. 그래픽 김연아 기자. 
2023년 참전명예수당 관련 통계. 그래픽 김연아 기자. 

국가를 위해 헌신한 참전유공자들은 합당한 처우를 받아야 마땅함에도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본보 확인 결과 참전유공자들의 상당수는 생활고에 허덕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홀로 단칸방에 살며 한 끼 먹기도 힘든 삶을 이어가는 이도 있다고 하니 가슴이 아프다. 참전유공자 중에는 80~90대 고령자가 많다. 경제활동이 어려운 연령대다. 게다가 전쟁후유증을 겪고 있는 참전유공자도 꽤 있다. 국가와 지자체가 처우 개선에 나서야 한다.

지난해 말 기준 대전시 관내 참전유공자는 총 5207명으로 집계됐다. 5년 전까지만 해도 7000명을 넘었지만 급격히 줄어드는 추세다. 고령 등의 이유로 한해 평균 400여명이 사망할 정도다. 남은 참전유공자라도 안락한 여생을 보냈으면 싶지만 녹록치가 않다. 참전유공자의 57.8%가 시장소득 기준 중위소득 30% 미만의 빈곤층이란 조사결과가 있다. 얼마 안 되는 참전명예수당에 의존하는 참전유공자들의 형편이 어떨지 미뤄 짐작이 간다.

지역마다 제각각인 참전명예수당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나마 대전시의 참전명예수당은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난해 대전시의 참전유공자 명예수당 예산은 총 99억6000만원으로 유공자 1인당 월 15만원씩 꼴이다. 올해도 같은 수준이라고 한다. 이는 전국 지자체 평균인 18만원보다 3만원 적은 액수다. 인구대비 참전유공자 비율이 대전과 비슷한 울산의 참전명예수당이 20만원인 것과 비교된다. ‘일류경제도시’에 걸 맞는 참전명예수당을 책정했으면 한다.

똑같이 나라를 위해 헌신했음에도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참전명예수당을 달리한다면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다. 국가보훈부도 참전수당을 지자체 평균 지급액(18만원)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골자로 한 참전명예수당 상향평준화 지침을 내놨다. 하지만 이는 권고사항일 뿐 지자체가 반드시 지킬 의무는 없다는 게 한계다. 예산 투입에는 우선순위가 있다. 당국은 하루하루 고되게 살아가는 참전유공자들의 처우 개선에 힘써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