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6·25전쟁 등 나라를 위해 싸운 참전유공자에게 지급되는 광역자치단체별 참전수당이 천차만별이다. 국가보훈부가 공개한 ‘광역 단체 참전수당 현황’에 따르면 많게는 22만원(제주)에서부터 적게는 2만원(전북)까지 11배의 차이를 보인다. 월 평균 지급 수당은 9만 2000원 가량이다.
충청권에선 세종이 15만원, 대전이 10만원, 충북이 6만원이다. 대전은 지난해 3만원을, 충북은 1만원을 올려 참전유공자에 대한 예우 노력을 보였다고 한다. 반면 충남의 참전수당의 경우 3만원으로, 충청권은 물론 전국에서도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전용사는 우리사회에서 어느 누구보다 예우 받아야 할 대상이다. 지난 몇 년 동안 충남은 물론 정부와 지자체들은 앞다퉈 복지정책을 계속 확대해 왔지만, 이들에 대해 인색하게 외면했다는 점은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참전유공자들에게 참전수당은 단순한 지원금이 아니다. 나라를 위해 목숨을 걸고 참전한 이들에게 국가와 지자체가 그 고마움을 잊지 않고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참전용사에 대해 적절한 예우와 존경을 하지 않으면서 국민들에게 애국을 강요할 수 있는가.
충남지역 참전수당 대상자는 9644명으로 참전수당을 올린다 해도 재정에 큰 부담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행스러운 건 김태흠 충남지사가 이달 초 도 실국원장회의에서 내년 참전유공자 명예 수당 인상에 대해 보고를 받은 뒤 "도내 시군은 물론 타 시도와도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주문한 점이다. 또 각 시군별로 보이는 수당 차이도 없애달라고 당부했다고 한다. 충남도는 올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내년 예산 작업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시급한 현안과 이에 따른 예산 수립에도 버겁겠지만, 이번 기회에 참전유공자들의 명예와 자부심을 찾을 수 있는 방안을 분명하게 내 놓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