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덕특구 문제점 노후화·산업용지 부족 등 꼽혀
대전시 국가산단 제안서 국토부에 제출, 이달 중 발표
선정시 미래 4대 핵심사업 전초기지 구축… 결과 촉각

사진은 하늘에서 내려다본 대덕특구 전경.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사진은 하늘에서 내려다본 대덕특구 전경.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청투데이 이정훈 기자] ‘제2 연구단지’ 조성안이 노후화, 산업용지 부족 등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가 떠앉고 있는 숙원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국가산업단지 지정을 통한 대덕특구 편입’이라는 전략을 마련한 상태지만 타 지자체 간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 속,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앞서 대전시는 과기정통부와 협의를 통해 국가산단 조성 제안서를 국토부에 제출했다.

국토부 공모로 진행되는 국가산단 지정은 대전을 비롯한 인접 도시인 충남 홍성 등 전국 19곳에서 제안서를 제출해 유치경쟁을 펼치고 있다. 결과는 이달 중 발표 될 예정으로, 시는 현재 산업단지 지정을 위한 당위성을 피력하고 있다.

시가 제2연구단지 조성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이유는, 현 대덕특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동시에 지역의 새 성장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는 대덕연구개발특구가 50주년을 맞는 뜻 깊은 해지만, 새로운 변화가 필요한 시점으로도 여겨지고 있다.

1973년 출범한 대덕특구는 개발도상국에 머물렀던 대한민국을 주요 과학기술 강국으로 발돋움시키며 국내 최대의 연구개발(R&D) 거점지구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반세기 세월을 보내면서 시설·장비가 노후해졌고, 주거·문화·교통·편의 시설 부족 등 한계도 드러내고 있다.

이로인해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 중 가장 큰 사안은 ‘탈(脫) 대덕’ 현상이다.

제2연구단지 조성은 궁극적으로 탈 대덕을 막을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게 중론이다.

실제 대덕특구 내 최초로 민간 대기업 연구소(당시 럭키중앙연구소)를 입주시켰던 LG그룹은 2018년 서울 마곡에 ‘LG사이언스파크’를 조성하며 대덕특구에 있는 일부 조직을 이전 시킨 바 있다.

SK그룹은 경기도 부천에 ‘SK그린테크노캠퍼스(가칭)’를 설립키로 하고 오는 2027년 대덕특구에 있는 SK이노베이션연구원 내 일부 연구소를 이전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KT&G중앙연구원 내 위치한 KGC인삼공사의 한국인삼연구원도 경기도 과천 이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 뿐 아니라 특구 내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도 전국에 분원을 설립하며 일부 기능과 인력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

출연연의 본원 이전 사례는 없지만, 본원의 산하 조직들이 대전이 아닌 다른 지역에 설립되며 사실상 ‘탈 대전’이 이뤄진 것과 다름없다는 평가가 수년째 흘러 나오고 있는 상황.

이로 인해 고급 인력의 이탈, 본원 기능 약화 등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의 근본적 원인은 대덕특구의 토지 이용률이 낮아 새로운 연구시설 확충이 어렵고, 신규 기업·기관이 입주할 공간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연구단지 확충을 담보한 제2연구단지 조성안이 숙원과제로 자리잡은 이유다.

시 관계자는 "제2연구단지 조성은 그저 공간 조성에만 몰두하는 것이 아닌, 나노·반도체·우주항공·바이오 헬스라는 미래 4대 핵심 사업 전초기지 구축 등 다양한 기능이 들어가게 된다"며 "그동안 많은 준비를 해온 만큼 기대를 내걸고 있다. 신규 산단 지정으로 제2연구단지 조성이 완성되면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 핵심주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classystyl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