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4일 오전 대전권 상급종합병원인 충남대병원 외래 접수창구가 창구가 폐쇄된 가운데, 퇴원 환자 보호자들이 퇴원 수속을 밟고 있다. 2024.2.24 사진=연합뉴스.
24일 오전 대전권 상급종합병원인 충남대병원 외래 접수창구가 창구가 폐쇄된 가운데, 퇴원 환자 보호자들이 퇴원 수속을 밟고 있다. 2024.2.24 사진=연합뉴스.

보건의료 재난경보 단계가 기존 최상위인 ‘심각’으로 격상됐다. 정부가 의대 입학정원 증원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서 제출이 이어지자 내린 조처다. 코로나19 같은 감염병이 아닌 보건의료 위기 때문에 재난경보가 심각으로 올라간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만큼 의료현장이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얘기다. 정부는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설치하고 총력대응에 나섰다. 의사 집단행동이 끝날 때까지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하기로 했다.

정부의 강경대응에 전공의(인턴·레지던트)의 반발은 거세지는 양상이다. 전국 주요 100개 수련병원 소속 전공의의 약 74인 9000여명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이중 8000여명이 근무지를 이탈했다고 한다. 대전지역의 경우 충남대병원 등 5개 주요 대학·종합병원 전공의 500여명 중 80% 이상이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지역은 천안의 대학병원 2곳에 근무하는 전공의 250여명 중 190여명이 사직서를 낸 상태다.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내고 의료현장을 떠나면 진료 차질이 불가피하다.

대학병원들은 경증환자는 퇴원을 유도하고, 신규 입원을 최소화하고 있다. 수술일정을 연기하는 곳도 있다. 환자의 고통 가중은 두말할 필요가 있다. 이참에 과도하게 전공의에 의존하는 의료시스템을 개선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형병원들의 전공의 의존율이 40%에 이른다고 한다. 이들은 대학병원에서 야간 당직은 물론 수술과 진료를 보조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의료현장의 최일선에 전공의들이 있는 셈이다. 따라서 전공의들의 이탈은 의료차질과 직결된다.

복지부가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를 통해 의료기관을 전공의 중심에서 전문의 중심으로 개편키로 한 까닭이다. 대형병원의 전공의 비율을 얼마나 낮출 수 있을지 주목된다. 비대면 진료확대는 경증환자를 비대면 진료로 흡수해 중증·응급환자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려는 의미라고 한다. 정부와 의료계의 대치가 길어질수록 그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들에게 돌아온다. 다리 괴사환자가 ‘응급실 뺑뺑이’를 했다는 안타까운 얘기도 들린다. 의료현장의 정상화가 절실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