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학생. 사진=연합뉴스.
학생. 사진=연합뉴스.

정부의 교육제도 개편에 따라 2025년 전국 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된다. 직업계고 등 일부 학교에서 2021년부터 시범 운영을 거쳤고, 내년부터 모든 학교로 확대되는 것이 골자다. 현재 대학 교육제도와 유사하게 일정 기준 학점을 취득하면 고등학교를 졸업할 수 있고, 학생의 개인적인 필요와 적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진 교육제도로 평가받는다.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앞두고 학교 현장에선 벌써부터 불만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는 게 현실이다. 가장 큰 우려는 교과 교사 부족 문제다. 제도에 따라 학생의 수요를 고려해 선택과목을 개설해야 하는데, 현 교육 체제상 교사 1명이 다수 과목을 지도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 때문이다. 실제 고교학점제를 시범 운영 중인 학교 교사의 경우 한한기 동안 여러 과목의 수업 준비를 진행하면서 집중도가 떨어졌고, 과목별 평가방식, 생활기록부 등도 따로 챙기다 보니 체력과 정신적인 부담이 크다고 한다.

교사의 업무 과중은 결국 교육의 질이 하락하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본격 시행에 앞서 신속한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교육계에선 고교학점제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선 무엇보다 교사 수급이 원활히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와 교사에 대한 직업만족도 하락으로 교사 신규 채용이 갈수록 줄어드는 상황은 고교학점제 안착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교육당국은 순회교사 제도나 기간제 교사 확대 등을 교사 부족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결국 임시방편에 불과할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교육당국은 고교학점제 운영 방안으로 공동교육과정이나 온라인 학교 등 비대면 강의도 내세웠지만, 결국 수업의 집중도와 학교의 학생 관리에도 무리가 따를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고교학점제와 현재 대학입시 제도 간 괴리 문제도 분명 개선이 필요한 과제이나, 당장 눈앞에 닥친 고교 교육과정의 성공적 안착을 이끌어내는 것이 급선무다. 교육제도는 백년을 내다봐야 한다는 말처럼 정부와 교육당국은 교육현장의 목소리를 꼼꼼히 귀담아 듣고 보다 실효성 있는 개선책을 내놔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