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서·대전본사 취재2팀 정치사회 담당 기자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필자는 결혼을 한 달가량 앞둔 예비신부다.

1년 가까운 시간동안 결혼 준비를 하면서 왜 요즘 청년들이 결혼을 안(못)하는지 몸소 체감하고 있다.

결혼을 해서 가정을 꾸리고 아이를 낳아 기르는 주변 사람들의 이 평범한 일상이 그저 대단해 보이고 존경스럽기까지 하다.

고향도 아닌 한 지역에 정착해 직장을 얻고 결혼해 정주한다는 것은 인생 매커니즘으로 보면 참 의미 있는 일인 것 같다.

청년도시 1위를 자랑하던 대전에 언젠가부터 젊은이들이 줄기 시작했고, 그나마 거주 중인 2030은 결혼과 출산을 기피한다.

이 모든 원인을 한가지로 판단할 순 없겠지만 같은 청년으로서 결혼을 준비하며 조금은 알 것 같다.

가장 큰 난제는 누가 뭐래도 ‘집’이다.

집만 해결돼도 결혼 준비의 반은 끝난다는 선배들의 말이 현실이 되는 순간이었다.

공공주택 등 주거취약계층을 위한 정책은 많이 강화됐지만 나처럼 이도 저도 아닌 애매한 중위소득자들에겐 정부나 지자체가 주는 복지혜택은 그저 남의 나라 이야기다.

대한민국 땅에서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대출 없이 결혼하는 것은 동화 속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일반 청년, 신혼부부들을 위한 보다 현실적이고 촘촘한 주거 정책이 필요할 것 같다.

또 다른 걱정은 결혼 전부터 밀려오는 ‘육아휴직’에 대한 부담감이다.

결혼준비를 하면서 들었던 수 많은 물음 중 하나는 ‘너희 회사 육아휴직제도 잘 돼 있어?’다.

대전 기혼여성 10명 중 2명은 이른바 ‘경단녀(경력단절여성)’다.

세상이 많이 바뀌었다고 하지만 아직도 한국사회에서 여성은 출산과 육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인구 정책은 따로 있지 않다.

여성이 자유롭게 일하고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청년들이 대전에서 터를 잡아 결혼을 하고 이후 출산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인생 제2막을 앞두고 대전의 정주 환경은 과연 어떠한지, 신혼부부는 물론 먼 훗날 미래의 내 자식까지도 살기 좋은 지역일지 객관적으로 되돌아보는 요즘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