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센터·노화연구원 입지 불투명 … 관련법 표류
지역간 이해관계 얽혀 총선 공약 반영 국회논란 격화 전망

인체자원은행이 운영에 들어간 가운데 성공적인 오송 메디컬 시대를 여는 열쇠인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와 국립노화연구원 유치가 주목받게 됐다.

지난달 26일 문을 연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은 △국립노화연구원 △고위험병원체특수복합시설 △의과학지식센터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와 함께 오송에 입지하는 5대 메디컬 연구지원시설이다. 이들 연구지원시설은 보건복지부의 건립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은 우리나라 최초·최대의 인체자원은행 전용 건물이며, 오송 5대 메디컬 시설로는 처음 운영에 들어가게 됐다. 의과학지식센터와 고위험 병원체특수센터도 조만간 착공 예정이다.

하지만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와 국립노화연구원은 입지 논란에 휘말려 오송 건립이 불투명해지면서 오송 5대 메디컬 유치에 차질을 빚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지난 2007년 12월 2012년까지 1258억 원을 투입해 오송생명과학단지 내 4만 9600㎡ 부지에 5대 연구기관 건립을 확정했다.

특히 보건복지가족부 내부자료 상에 오송생명과학단지 국책기관 이전부지에 설립부지 확보 등 국립노화연구소 입지계획이 적시돼 있다. 그러나 복지부가 지난 2008년 지식경제부에 국립노화연구소 건립을 위한 기본계획 용역비 3억 원을 요구했으나 관련법이 없어 반영되지 못했다.

국립노화연구소의 오송단지내 건립이 지연되면서 부산과 광주가 국립노화연구원 설립을 주장, 유치 경쟁이 시작됐다. 도는 그동안 국립노화연구원의 오송생명과학단지 내 입지에 대한 정부의 정책 결정을 내세우며 유치에 적극 나섰다. 그러나 유사한 두 개의 관련법이 국회에 발의된데다 지역 간 이해관계 등으로 입법이 늦어졌다.

제18대 국회가 다음 달로 끝나게 되면서 관련 법안이 자동폐기, 제19대에서 법안 발의가 다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도 비슷한 상황에 놓였다. 오송에 부지까지 마련된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는 올해 정부예산에 설계비 5억 5000만 원이 반영돼 하반기 중 설계에 들어갈 예정이다.

충북도가 적극 나서 설계비까지 확보했지만 입지논란에 휘말렸다. 충북과 첨복단지 조성경쟁을 벌이고 있는 대구가 입지를 주장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제19대 총선 과정에서 새누리당의 대구 입지 공약에 포함돼 새 국회 개원과 함께 입지 논란이 격화될 전망이다.

이처럼 오송 입지가 확정된 핵심 메디컬 연구지원시설의 유치가 불투명해지면서 지난 2010년 이전한 식품의약안전청 등 6대 국책기관과 함께 세계보건의료산업 중심지 육성이라는 정부 계획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010년 4월 보도자료를 통해 6대 국책기관 이전과 함께 핵심 연구지원시설인 인체자원중앙은행 등도 오송에 들어설 계획이라고 밝혔었다.

특히 복지부는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오송단지 내에 지정됨에 따라 근접지역 간 자원·인프라를 공동 활용, 시너지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는 분석도 내놓았다.

도 관계자는 “”6대 국책기관과 5대 메디컬시설은 정부가 오송에 국가보건의료시설을 집적화하기 위한 계획에 따른 것으로 세계 최초로 산업화 과정별로 원 스톱 서비스(One Stop Service)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는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와 국립노화연구원이 다른 지역이 아닌 오송에 입지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