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난해 국내 혼인 건수가 12년 만에 소폭 반등했지만, 3년 연속 20만건을 밑돌고 있다. 갈수록 줄어드는 출산율로 인구소멸 위기에 직면한 만큼 혼인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23년 혼인·이혼 통계’를 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4000여건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던 2022년보다 2000여건 증가했다.

국내 혼인 건수가 전년도와 비교해 증가한 건 2011년 이후 처음이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미뤄졌던 결혼이 2022년 하반기와 작년 상반기에 집중된 결과라지만, 코로나 시기 30~50만건 이상 혼인 건수가 줄었던 점을 감안하면 증가세가 유지될지는 불투명하다. 지난해 충청권에선 대전만 유일하게 7.9% 감소했고, 세종(2.5%), 충북(0.4%), 충남(3.1%)은 혼인 건수가 증가했다.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인 조혼인율은 세종이 4.4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대전 3.6명, 충북과 충남은 3.9명이었다.

지난해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 34세, 여자 31.5세로 전년보다 0.3세, 0.2세 올랐는데, 10년 전과 비교하면 남자 1.8세, 여자 1.9세 상승했다. 청년들이 혼인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겠으나, 정부의 결혼 장려 정책이 결혼을 맘먹을 정도의 수준은 아니라는 점도 분명 있다. 신혼부부들에게 주택공급 혜택, 금융 혜택 등을 주지만, 출산에 방점이 찍혀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 혼인율과 출생율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어 우선적으로 결혼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정책 고민이 필요한 때다.

최근 대전시가 청년 신혼부부가 살기 좋은 프로젝트에 1조 567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건전한 만남부터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 정립을 위한 정책들이 추진된다고 한다. 결과를 떠나 지자체가 직접 나서 결혼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 할 수 있겠다. 결혼율을 높이기 위한 지자체의 다양한 시도와 함께 정부도 파격적인 정책을 제시해 인구소멸 위기를 반드시 극복해 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