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남도의회 전경. 사진=이경찬 기자 chan8536@cctoday.co.kr
충남도의회 전경. 사진=이경찬 기자 chan8536@cctoday.co.kr

충남도의회가 ‘충청남도 한복 착용 장려 지원 조례안’ 제정에 나선 건 한복 착용을 장려하기위해서다. 도의회 방한일 의원이 대표 발의한 이 조례안은 지난 13일 복지환경위원회를 통과했다. 조례안은 한복을 입은 사람이 공공시설을 이용할 경우 입장료·관람료 감면 지원, 한복의 개발·보급·착용 장려에 관한 도지사 책무, 한복 관련단체 예산 지원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조례 제정으로 전통 의상인 한복을 자주 입을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정부가 지난 1996년 한복의 날(10월 21일)을 정하고 각종 행사를 벌이고 있지만 역설적이게도 일상 속 한복착용 빈도는 줄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런 의미에서 충남도를 비롯한 지자체들이 한복착용을 독려한다면 효과는 배가될게 분명하다. 더욱이 중국이 한복을 자신들의 전통의상이라고 우기는 상황이고 보면 한복의 정체성 확립이 긴요하다고 하겠다. 중국은 김치의 원조가 ‘파오차이’라고 주장하는데 이어 한복은 명나라 대에서 전승된 ‘한푸’라며 억지를 부리고 있다.

케이팝(K-pop), 한국 드라마 같은 한류에 전 세계인들이 열광하듯 한복도 세계인의 사랑을 받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려면 국민들이 한복을 가까이하고, 즐겨 착용해야 한다. 우리가 한복을 외면한다면 외국인들이 한복을 찾을 리 만무다. 일본의 전통의상인 ‘기모노’나 베트남의 전통의상인 ’아오자이‘가 민족의상으로 자리 잡은 것도 평상시 입고 즐기는 문화가 정착돼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복문화가 형성되고 있다니 반갑다.

전국 지자체들이 다양한 한복착용 활성화 방안을 내놓고 있다. 강원도 강릉시는 한복문화창작소를, 경북도 산하 경북문화재단은 한국한복진흥원을 설립해 한복 장려에 나서고 있다. 특정일을 정해 공무원들이 한복을 입고 근무하는 지자체도 여럿 있다. 지자체들이 서로의 노하우를 공유하면 파급효과가 더 클 것으로 기대된다. 요즘 문화유적지 등을 둘러보면 한복을 입은 이들이 부쩍 눈에 띈다. 한복이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매김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