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세종시의회 ‘3등급’ 충북도의회 ‘4등급’ 충남도의회 ‘2등급’
기초시의회 평가선 계룡·당진·보령시의회 3곳 ‘2등급’으로 가장 높아

[충청투데이 박영문 기자] 지역 주민과 해당 지방자치단체 공직자가 느끼는 청렴도, 부패방지 노력 등을 포괄하는 종합 청렴도 결과를 두고 충청권 지방의회의 희비가 엇갈렸다.

국민권익위원회는 4일 전국 92개 지방의회(광역의회 17개, 기초 시의회 75개) 대상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우선 광역·기초시의회의 종합청렴도는 행정기관·공직유관단체 종합청렴도(지난달 28일 발표, 100점 만점에 80.5점)에 비해 낮은 68.5점으로 집계됐다.

또 지역주민, 공직자 등 업무관련자가 직접 평가하는 청렴체감도는 66.5점으로 행정기관·공직유관단체의 청렴체감도 평균인 80점에 비해 낮았다.

기관별 종합청렴도를 살펴보면 경북도의회, 강원 동해시의회, 경기 동두천시의회, 전남 광양시의회 등 4개 기관이 1등급을 받았다. 반대로 5등급에는 강원특별자치도의회, 경기도의회, 강원 태백시의회, 경기 성남·수원·이천시의회, 경북 안동·포항시의회 등 8개 기관이 이름을 올렸다.

또 이번 평가에 포함된 충청권 광역·기초시의회 대다수는 1, 5 등급을 제외한 2~4 등급에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의회별 종합청렴도 등급은 충남도의회 2등급, 대전시의회 3등급, 세종시의회 3등급, 충북도의회 4등급 등이다.

세부 분야 중 청렴체감도는 충남도의회 2등급, 대전시의회·충북도의회 3등급, 세종시의회 4등급이었고 청렴노력도의 경우에는 세종시의회·충남도의회 1등급, 대전시의회 2등급, 충북도의회 4등급이다.

충청권 기초시의회 중에서는 충남 계룡·당진·보령시 의회 등 3곳이 2등급으로 가장 높았다.

충남 공주·논산시의회와 충북 제천·청주·충주시의회가 3등급으로 뒤를 이었고, 충남 서산·아산·천안시의회는 4등급을 받았다.

아울러 권익위는 지방의회 청렴수준이 낮게 평가된 점에 주목, ‘지방의회 반부패 특별 대책’을 마련해 즉시 시행할 계획이다.

지방의회 등 대상 직접 교육을 실시하고, 지방의회 맞춤형 반부패법령·제도 운영 컨설팅 등 다각적인 지원 정책을 지속 시행할 예정이다.

정승윤 권익위원장 직무대리는 "정부는 국민 생활의 밀접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지방 토착 카르텔형 부패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때까지 모든 반부패 역량을 총동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영문 기자 etouch84@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