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세연·대전본사 편집국 정치행정부 기자

[충청투데이 노세연 기자] 최근 편의점 아르바이트에서 판을 치는 ‘최저임금 미준수 사례’를 시리즈로 된 기획 기사로 보도한 적이 있다.

편의점 업종 특성 상 점주의 수익 창출이 쉽지 않은 탓에 최저임금이 무시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기사의 주된 내용이었다.

이 아이템은 유난히 취재가 쉬웠다. 하도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다 보니 피해 사례들을 수집하는 과정이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로 수월하게 흘러갔다.

생각보다 많은 아르바이트생들이 최저임금에 준하는 보수를 받지 못한 채 일했거나, 일하고 있었던 것. 임금 삭감 피해자들 대부분은 태어나서 처음으로 노동 시장에 뛰어든 고등학생 또는 대학생들이었다. 나의 친구가, 친구의 아는 동생이, 아는 언니의 친구가 모두 이 같은 일의 직접적인 당사자였다.

그들은 기사의 취지에 대한 설명을 듣자마자 흔쾌히 인터뷰에 응해줬다.

일이 덜 힘드니까, 일을 배우는 기간이니까 등등 갖은 핑계로 학생들의 임금이 깎여나갔다.

취재원들이 들려준 피해 경험담을 토대로 기사를 써내려갔고, 얼마 후 결과물이 세상에 공개됐다.

당연하다는 듯 시간 당 7000원, 8000원을 받고 일하는 지역 청년들에게 어떤 식으로든 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커졌다.

결과는 놀랍게도 아무 일도 안 일어났다.

보도 이후 한 달 넘게 지났지만 친구의 아는 동생, 아는 언니의 친구는 여전히 최저임금을 받지 못한 채 노동력을 제공하고 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이들에게 보도 이후 행정당국의 개선 시도가 있었는지 물었지만, 역시나 아무 일도 일도 없었다.

임금 삭감 꼼수를 완전히 뿌리 뽑지는 못하더라도 현황 파악을 위한 실태 조사 노력조차 없었다.

관련 업장에 대한 대대적 계도 활동 역시 진행되지 않았다.

업종 자체의 비정상적 수익 구조로 인해 아무런 죄 없는 학생들이 피해보고 있는 것을 모두가 알았지만 바뀌는 것은 없었다.

지역 아르바이트생들이 간절함을 담아 보낸 탄원에 여러 공공기관이 내놓은 대답은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 인가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