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현 사단법인 대전민예총 이사장

예술경영 vol.488에 실린 임학순의 ‘지역문화재단의 역할과 미래’에 의하면, 지역문화재단의 정당성에 대해 두 가지를 말하고 있다.

첫째 문화예술의 측면에서 자율성, 독립성, 전문성 확보하기 위해 설립·운영한다. 그러나 자율성, 독립성, 경직성 이슈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전은 설립 및 운영과정에서 문화예술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돼 있다고 평가하기 어렵다.

둘째 전문성, 유연성, 소통과 협력 네트워크 역량이다. 대전문화재단의 현실은 정책 사업의 전달(위탁 혹은 대행) 및 집행 차원에 치중돼 있으며 지역 특성 기반의 적절성 높은 정책을 연구, 개발하는 차원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지역문화정책의 데이터 및 지식 기반도 부족한 실정이다. 또 전문인력들이 조직 내에서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지역의 문화 행정 여건 또는 미흡하다. 2023년 대전문화재단 예산서 중 세출을 중심으로 보면 총 260억 9071만원 중 재단 운영비 26억 5420만원으로 10.1%를 차지하고 대행 혹은 위탁 사업인 목적사업비가 67.6%를 차지하고 있다. 목적사업비를 보면 통합문화이용권 90억 6729만원, 학생문화예술관람지원 10억 5000만원 외 43건의 사업을 대행 혹은 위탁해 집행하고 있다. 그 외 기타 대전예술가의집, 대전테미예술창장센터, 대전문학관, 대전무형문화재전수회관, 대전전통나래관 운영으로 돼 있다. 지역기반의 문화예술정책을 연구, 개발하거나 데이터 수집 등 대전지역 문화예술 생태계의 소통하거나 가치를 높이는 등 정책 예산은 미미하다. 재단 내부 구성원들의 소통 혹은 전문성 강화 방안에 대한 예산도 거의 없다.

지난달 15일 심규익 대전문화재단 대표이사의 퇴임식이 있었다.

대표 이사 중 임기를 모두 채우고 물러난 이사가 한 사람도 없는 현실이 또 되풀이 됐다.

앞서 2월 한국문화예술네트워크 대전지회는 대전문화재단은 해체가 답이라며 재단의 대대적 쇄신을 요구했다. 3월 13일에는 박종선의 발칙한 시선에서는 ‘존재가 민폐인 대전문화재단이 될 건가’ 라고 묻고 있다. 이어 3월 14일 중도 초대석에서 성낙원 대전예총 회장은 "근래 들어서 되짚어보면 이게 대표만의 문제가 아니다. 재단 구성원들의 심각한 카르텔 형성이 문제다. 여기에 아주 훌륭한 대표를 갖다 놔도 문제 해결은 안 된다고 본다"고 진단했다.

최근 열린 목요언론인클럽 간담회에서 이장우 대전시장이 "문화재단은 노사·노노 갈등 등 여러 고질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어 공직기강 확립이 가장 필요한 조직"이라며 "곧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재단 대표이사를 통해 개혁하고 그래도 안되면 통폐합을 포함한 모든 조치를 다하겠다"고 선언했다.

관련 당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소통과 협력하는 협의체도 없고, 흔한 토론회 혹은 원탁회의 없이 주장만 난무하고 있다.

실질적 책임자인 대전시는 문화관광국 담당자, 민간 예술단체 혹은 협회, 대전지역 생활동호회를 포함한 문화예술인, 문화예술 정책전문가, 문화단체와 시민, 문화재단 구성원 등 의견을 조율하고 서로 지혜를 모아 해결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통해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