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한명이 낳는 자녀 수 1명 이하
저출산 심각… 지방 소멸 위기 직면
윤 정부 첫 저출산 대책 공개 눈길
"낳아 기르기 좋은 환경 만들어야"

2021-2022(잠정) 충청권 합계출산율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2021-2022(잠정) 충청권 합계출산율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노세연 기자] 윤석열 정부의 첫 저출산 대책이 베일을 벗으면서 초저출산·인구고령화에 따른 지방 소멸 위기에 직면한 충청권 지자체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충청권은 여느 지방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저출산·고령화의 늪에 빠져있는 상태다.

지난해 충청권 4개 시·도의 합계 출산율(여성 한 명이 가임 기간에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은 △대전 0.84명 △세종 1.12명 △충북 0.87명 △충남 0.91명에 불과했다.

세종을 제외하고 충청권 전역의 합계 출산율이 단 ‘1’에도 미치지 못한 것.

이는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한 명이 평생 동안 낳는 자녀의 수가 1명 이하라는 것을 뜻한다.

충청권 내 저출산·고령화 양상이 갈수록 짙어지고 있다는 것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충청권의 출생률 수치는 수십 년 전부터 점진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했다. 특히 2000년대 들어 세 지역의 합계 출산율이 1.5 이하로 떨어졌는데 당시 반등에 성공하지 못하며 완전한 하락세를 탔다. 2018년 대전의 합계 출산율이 0.95를 기록하며 충청권에서는 최초로 1 이하가 됐고, 2020년에는 충북(0.98)이, 2021년에는 충남(0.96)이 차례로 같은 노선을 밟았다.

충청권의 합계 출산율이 줄줄이 1 아래로 추락함과 동시에 인구 1000명 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조출생률도 급격하게 내리막길을 걸었다.

지난해 충청권의 조출생률은 △대전 5.3 △충북 4.7 △충남 4.8로 집계됐는데, 10년 전인 2012년(△대전 10.1 △충북 9.8 △충남 10.2)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출산율 감소는 지역 인구 고령화로 이어져 출생아 수 보다 사망자 수가 더 많은 ‘인구자연감소’를 가속화시켰다.

이대로라면 최악의 경우 지방 소멸의 최후를 맞이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윤 정부의 저출산 정책 방향이 공개됐다.

곳간을 풀어 단기적 또는 일회성 대책을 실시하기 보단 우선적으로 아이를 낳아 기르기 좋은 환경을 만들겠다는 게 핵심이다.

이에 허창덕 충남도 복지보육정책과장은 "최근 충남도의 합계출산율이 1 아래로 떨어지면서 그 어느 때보다 위기감을 느끼고 관련 정책 수립에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있다"며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주거·지역 일자리 등의 질을 높이면서 국가의 저출산 대책 이행력을 높일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노세연 기자 nobird@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