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헐값에 땅 내줬던 여흥 민씨 중종
아파트 건설 반대 서명 유성구에 전달
민간 이익 실현 반발속 환경권 침해 주장
區 “민원만으로 허가·규모 제한 어려움”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속보>=대덕과학문화센터 부지에 아파트 건설이 추진되자 여흥민씨 종중이 1500명의 반대 서명을 관할 자치단체에 전달했다.<3월 4일 1·3면 보도>
과거 정부가 대덕센터 설립을 추진할 당시 문중의 땅을 헐값에 넘겨줬던 여흥민씨 종중은 센터 부지를 시민들의 공간으로 남겨야 한다는 입장이다.
29일 여흥민씨 삼계공파종중에 따르면 지난주 1500명의 서명과 호소문이 주택건설사업 관할 자치단체에 전달됐다.
종중은 호소문을 통해 “화봉산은 종중 대대로 내려오는 선조들의 묘소가 있는 종산”이라며 “센터 신축 당시 중앙부를 낮게 시공해 조망권을 훼손하지 않는 조건으로 묘소를 보전하도록 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화봉산과 우성이산은 시민은 물론 대덕특구의 연구원, 가족들에게 허파와 같은 안식처로 보존해야 할 소중한 공간”이라며 “시민들에게서 조망권을 빼앗아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종중은 1994년 서울 남산의 외국인 아파트 철거 사례를 두고 “대전시와 유성구도 이와 같이 시민들이 쾌적한 자연환경을 누릴 수 있는 권리를 지켜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종중은 과거 국가 발전을 위한다는 취지에서 토지를 매각한 만큼 민간의 이익 실현에 부지가 사용돼선 안 된다는 입장이다.
대덕센터는 정부가 과거 연구원들의 정보 공유와 교류를 위해 200여억원을 들여 연구단지 초입, 관문 격인 도룡동에 조성했으며 부지는 여흥민씨 중종으로부터 매입했다.
그러나 2003년 감리교학원에 268억원을 받고 매각, 이후 감리교학원이 920억원에 민간에 매각하며 아파트 건설이 공식화됐다.
부지를 매입한 A시행사는 주택건설사업 승인을 신청했으며 센터 부지에 30여층 아파트 4개동(400여세대)과 7층 규모 오피스텔 1개동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대전시와 유성구는 각각 경관상세계획과 지구단위계획에 대한 검토를 진행 중이다.
이에 대해 구 관계자는 “현재는 지구단위계획 등에 대해 보완이 나가있는 상태인데 민원인들의 입장은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며 “다만 대법원 판례도 있고, 민원만으로는 허가를 제한하거나 규모를 제한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