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용지표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어 걱정이다.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이라고는 하나 터널의 끝이 보이지 않아 절망감이 크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2020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는 2690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무려 21만8000명이 줄었다. 실업자는 110만 명을 넘어섰고, 일시휴직자는 전년보다 43만 명이나 늘었다. 각종 고용지표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처참한 수준이다.

경제 허리에 해당하는 30~40대 취업자가 감소하면서 성장 동력이 둔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30대 16만5000명, 40대 15만8000명이 줄어 연령대별 감소 폭이 가장 크다. 20대 취업자도 14만6000명이 감소했다. 기업들이 신규채용을 하지 않거나 채용을 미뤄 청년들의 구직이 하늘의 별따기다. 임시근로자나 일용직근로자 같은 고용취약계층의 일자리도 사라지고 있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과 숙박·요식업소 등 대면 서비스업 분야의 타격이 심각하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격상된 지난해 12월 취업자가 최대 감소폭(65만8000명)을 기록한 걸 감안하면 코로나19 사태의 위력을 실감하고도 남는다. 하루 확진자가 1000명대를 넘나드는 3차 대유행이 고용시장을 강타한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기저효과로 고용지표가 당분간 개선될 여지가 없다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고용지표는 경기를 후행 반영하는 특성이 있다. 때문에 올 1~2월 고용상황 역시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정부가 고용충격을 완화하기위해 각종 시책을 펼치고 있지만 시민들의 체감도와는 거리가 있다. 재정을 쏟아 붙는 공공일자리 위주의 고용 창출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피해를 입은 업종에 혜택이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 청년, 일용직, 여성 등 고용취약계층에 대한 고용대책 마련도 긴요하다. 코로나19 확산 여하에 따라 일자리 참사는 언제든 재연될 수 있어 살얼음판을 걷는 느낌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