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서 제출 한달 지나서 효력 발생
충남대병원, 사직 수리 여부 못 정해
비대위 휴진 예고에 정상 진료 입장
환자단체 “불안감 넘어 당혹·분노”
정부, 의료계에 개혁특위 참여 재요구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지역 대학병원 교수들이 사직서를 제출한 지 한 달이 지나 사직 효력이 발생하는 시점이 도래하면서 환자단체 등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지역 병원들은 교수들의 움직임이 평소와 다를 게 없다는 입장이지만, 비대위 중심으로 주 1회 휴진 방침이 나오는 등 의료 현장의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25일 충남대병원, 건양대병원 등은 현재 사직서가 수리된 사례 없이 정상적으로 진료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충남의대·충남대병원·세종충남대병원과 건양대학교의료원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지난달 사직서를 수합했을 때 각각 비대위 내 150명 이상, 142명이 사직서 제출에 동참한 바 있다.
충남대병원은 제출된 사직서의 수리 여부를 아직 정하지 않았고 비대위가 이번주 금요일부터 예고한 휴진에 대해서도 정상 진료를 하겠다는 입장이다.
충남대병원 관계자는 “일부 교수들이 휴진을 할 수도 있겠지만 환자들과 스케줄을 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건양대병원의 경우 지난달 제출된 사직서가 없고 휴진 등도 논의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사직서를 제출한 교수들 가운데 대부분은 일선 병원 현장에 남아 진료를 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비대위를 중심으로 대학병원 교수들이 ‘주 1회 휴진’ 카드를 꺼내든 데다가 병원마다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 시점이 달라 추가적인 집단행동 가능성은 남아 있다.
전공의 집단사직부터 교수들의 집단행동까지 의료대란이 두 달 넘게 이어지며 환자단체는 극심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날 논평을 통해 “전공의 및 의대 교수의 집단행동과 이로 인한 의료 공백이 10주째 이어지고 있어 응급환자와 중증환자가 치료 지연 및 연기로 겪은 심리적 불안감과 불편, 피해, 이런 상황을 지켜보는 환자가족의 당혹감과 분노는 상상 이상”이라고 토로했다.
이런 가운데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이하 의료개혁특위)는 이날 첫 회의를 열고 의료개혁 과제를 논의했다.
노연홍 의료개혁특위 위원장은 회의 이후 브리핑에서 “4대 최우선 과제를 속도감 있게 진행하면서 나머지 과제에 대해서도 특위 활동 시한 내에 구체적 로드맵을 국민께 보고 드리겠다”며 “의료개혁의 동반자로서 대한의사협회(의협)·대한전공의협의회의 조속한 특위 참여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