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도로 불법 주정차 ‘지자체 대책’ 필요
“자전거 확충보단 도로 환경 개선 우선” 지적

23일 대전 서구 도안동 일대에 위치한 자전거전용도로에 차량이 도로를 막고 주차를 한 모습. 사진=함성곤 기자.
23일 대전 서구 도안동 일대에 위치한 자전거전용도로에 차량이 도로를 막고 주차를 한 모습. 사진=함성곤 기자.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대전시 내 차도 가장자리에 설치된 자전거전용도로 위 불법 주정차 행태가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어 지자체 차원의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도안신도시를 중심으로 꾸준히 민원이 제기돼 단속활동 외에도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25일 시에 따르면 ‘대전시 자전거 활성화 방안’을 골자로 하는 연구 용역이 현재 진행 중으로 오는 11월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번 용역은 ‘타 시도 비교분석을 통한 주요 자전거도로 개선 방안’이라는 큰 틀 안에서 기존 자전거도로 재정비와 자전거전용도로 내 불법 주정차 해결 등을 복합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하지만 관건은 예산 확보다.

앞서 시는 2022년 9월에도 자전거 도로 정비 방안을 수립한 바 있다.

당시에도 도안지구 내 자전거전용도로 불법 주차 해결을 위해 시설물 설치와 도로 변경 등의 개선 방안을 담은 계획이 포함됐다. 하지만 예산 부족 등 이유로 해당 정책은 현실화되지 못했다.

그렇게 다른 현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급하지 않다고 판단된 자전거 도로 관련 문제는 점차 후순위로 밀리며 주요 의제에서 멀어져 갔다. 결국 자전거전용도로는 늘어나는 불법 주차로 몸살을 앓게 됐고 이로 인해 자전거를 이용하는 주민들은 차도와 인도로 밀려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시도 문제를 인지하고 자전거 타기 좋은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9월 시는 4년간 국비와 시비 789억원을 투입해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3개 분야 12개 과제 시행 계획을 발표했다.

‘자전거 타기 좋은 도시’를 표방하는 대전시가 자전거를 지속 가능한 교통수단으로 확립하는 현 상황에서 이같은 문제에 대한 해결 의지가 주목되는 시점이다.

이재영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자 한국자전거정책연합 회장은 "자전거도로 내 불법주차는 차도를 자동차가 가로막고 있는 것과 똑같다"며 "자전거와 차량 모두의 소통을 방해하는 불법 주차는 확실한 단속을 통해 즉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요한 건 자전거 확충이 아니라 자전거도로 환경을 개선해 시민들이 도로 공간에서 불편함 없이 주행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우선"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지적에 시 관계자는 "민원이 많았던 도안동 일대 사거리에 시선 유도봉 설치를 진행했고 순차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당장 시스템을 변경하기엔 현실적인 문제가 있어 우선 현재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단속과 계도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