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엑스포과학공원을 대전시에 무상 양여한 것은 지난 98년 12월의 일이다. 대전시민의 긍지가 담겨진 과학공원을 시민 정서에 맞게 활성화시키면서 지역발전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 크게 환영받았다. 그러나 사회 일각에서는 대전시가 과학공원과 같은 유락성(遊樂性) 공원을 운영한 경험이나 축적된 노하우가 없는 입장에서 그렇게 낙관만 할 게 아니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없지 않았다. 지나고 보니 그런 우려가 현실로 다가온 느낌이 전혀 없는 것도 아니다. 대단히 성공적이란 평가를 받았던 대전엑스포의 성과물인 과학공원이 애물단지로 전락해 버린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과학공원이 대전시에 양여한 뒤 정부의 관심이 멀어진데다 고비용 저효율에 따른 적자 누적과 관람객이 급격히 줄어든 데 까닭이 있다. 운영을 맡은 지방공사의 노사갈등도 여기에 가세했다. 감사원은 지난해 감사 결과 2008년 이후에는 공사의 재원 고갈로 운영이 중단될 것이라는 판단을 내릴 정도다. 과학공원의 자체 분석 역시 2002년 말 614억원에 달했던 현금자산이 2007년 말에는 19억원밖에 남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금 과학공원의 몰골은 한마디로 만신창이가 돼 버린 역사적 유물로 비쳐지고 있다. 여기에다 구체적 활성화 방안도 없이 각종 시설물만 유치할 계획이어서 난개발의 우려까지 겹치고 있다.

과학공원의 역사는 11년 동안 운영 주체들이 바뀔 때마다 공원 활성화를 위한 용역과 계획만 되풀이하다가 애물단지를 만든 꼴이 되고 말았다. 그러나 누구를 탓하기에 앞서 과학공원은 대전시민의 자존심이 걸려 있는 존재인 것이다. 대전시는 주저 없이 전면에 나서서 과학공원의 활성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소유권 문제가 걸려 있긴 해도 공원 운영의사를 밝히고 있는 한국과학문화재단에 대한 문제도 단안을 내려야 할 때다. 정부도 더 이상 과학공원을 대전시의 문제로만 간주하지 말아야 한다. 과학공원은 어떻게 해서든지 살려 놓고 볼 일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