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침반] 김일순 사회부 차장

대중교통수단인 대전도시철도 2호선 건설을 앞두고 건설공법 선정 논란이 뜨겁다.

도로에 레일을 설치해 달리게 하는 노면전철 방식과 도로 위에 고가 구조물인 교각을 세워 전용선로를 이용하는 지상고가 방식을 놓고 찬반양론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각 시스템의 장·단점을 놓고 민관정 도시철도위원회에서 논의가 이뤄지고 있으며 토론회도 열리고 있지만 전문가들조차도 팽팽한 평행선을 한치도 좁히지 못하고 있다.

노면전철을 선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측은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편리성과 접근성, 시민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재정 건전성을 담보할 수 있고,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과도 부합된다는 점을 장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 지상고가는 도심경관이 훼손되고 접근성이 떨어지며 환승도 불편해 이용객 감소로 이어져 적자가 급증, 결국에는 시민부담이 가중된다는 것을 단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에 반해 지상고가를 선호하는 측은 전용선로로 운행돼 안전성이 보장되고 예정된 운행시간을 준수하는 정시성이 뛰어나며 폭설과 강우 등 자연재해 발생 시에도 운행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또 도로위를 운행하는 노면전철은 승용차나 버스와의 추돌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도로공간을 추가로 잠식해 차량흐름 정체가 불가피하며, 표정속도(출발역에서 종점역까지의 평균속도) 저하 등의 단점을 극복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대전시는 건설방식 선정과 관련 아직까지 결정된 것은 없고,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지역 실정에 맞는 최종안을 정리하고 있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다. 그렇다면 최적의 도시철도 2호선 건설방식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현재 운행되고 있는 1호선처럼 지하화가 최선의 선택이라고 꼽는다. 하지만 지하화는 과도한 예산이 소요돼 중앙정부의 허가를 받을 수 없어 논의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 따라서 건설계획을 연기하지 않는 이상 차선책인 노면전철과 지상고가 중 양자택일을 해야 한다. 문제는 두 가지 방식 모두가 장점 못지 않게 냉정하게 고려하고 따져봐야 하는 단점이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도 건설방식별 특성과 장·단점이 뚜렷해 대전의 여건에 부합하는 최적의 시스템이 무엇인지 100%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다. 50년 후 또는 100년 후까지 내다보고 자신 있게 선택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도시철도는 한 번 건설되면 취약성이 드러나도 재시공하기가 만만하지 않다. 부실한 수요 예측으로 매년 수백억원대의 시민 혈세를 투입해야 하는 재앙 수준의 용인 경전철 사업의 폐해도 눈여겨봐야 한다. 일각에서 지상고가로 건설되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공사 진척률이 70%를 넘어 완공이 멀지 않은 만큼 시범 운행 사례 등 비교 대상으로 검토한 후에 건설방식 선정을 해도 늦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무엇보다 2호선 건설은 시급성을 요하는 사업은 아니다. 물론 사업 착수 시기가 늦어지면 그 기간 물가인상률만큼 애초 약속된 국비 지원액은 자연스럽게 줄어든다. 그렇지만 최선이 아닌 차선책 중 하나를 선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시간을 갖고 꼼꼼하게 판단하고 비교해서 결정하자는 ‘신중론’에 귀를 기울여 볼 필요가 있다.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실제 2호선을 이용해야 하는 시민의 여론도 폭넓게 수용해 절대 다수가 동의하는 합의가 이뤄질 때까지 최종적인 선택의 순간을 아껴도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