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어르신이 채용 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어르신이 채용 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한민국의 고령화는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2000년 초반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이후 노인 인구가 급증하면서 앞으로 1~2년 뒤면 초고령사회 전환이 예고되고 있다. 고령인구 증가는 결국 노인 빈곤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지나칠 수 없는 문제이기도 하다. 올 1월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977만5000여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6만4000여명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9~34세인 아동·청소년·청년 인구가 55만명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노인 인구 증가세가 가파르다.

최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2022년 기준 시도별 고령화 속도를 분석한 결과, 광역시 중 대전이 0.727로, 4번째로 빨랐다. 도 단위 중에선 강원이 0.791로 가장 높았고, 충북은 0.665로 전국에서 5번째로 고령화 속도가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 기초지자체까지 범위를 확대하면 고령화 속도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충북 단양군의 경우 1.243으로 고령화 속도가 전국 상위를 차지하고, 충북 영동(1.191), 충남 부여(1.189), 충남 서천(1.099)도 전국 상위 20곳에 포함돼 있다.

고령화 속도만큼 노인 빈곤도 빨라지고 있다. 지난해 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공개한 보고서를 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인구의 소득빈곤율은 40.4%였다. OECD 회원국 평균 노인 빈곤율이 14.2%인 점을 감안하면 무려 3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한국의 노인 소득빈곤율은 고령층일수록 상황이 악화했는데, 66∼75세 빈곤율은 31.4%, 76세 이상 52.0%에 달해 2명 중 1명 이상이 빈곤층이었다.

고령층 증가와 함께 노인 빈곤은 국가적으로 해결해야 할 시급한 사안이다. 급격히 늘어나는 노인 인구에 비해 정부 보조금과 사회보장 수혜금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도 분명하다. 기대수명이 늘어나 일할 수 있는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겠다. 지속적인 노인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 개선이 시급하다. 노인빈곤을 줄이기 위한 사회 보장 제도의 확대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