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한 가운데 28일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태영건설의 성수동 개발사업 부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한 가운데 28일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태영건설의 성수동 개발사업 부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세밑 건설업계에 핵폭탄급 악재가 터졌다. 시공능력 16위인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이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무를 감당하지 못해 나온 결정이다. 단순히 태영건설만의 문제가 아니어서 심각하다. 태영건설발 자금 유동성 문제는 꼬리의 꼬리를 물고 지역 건설사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전지역에서도 태영건설과 연계된 사업장이 3곳으로 파악되고 있다. 대전 효자지구, 천동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장이 다행히 태영건설과 공동도급으로 큰 피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단독 시공인 유천1구역 지주택사업장은 내년 상반기 분양 앞두고 있어 이와 관련된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더욱 무서운 것은 태영건설발 직접피해가 아닌 간접피해다. PF 시장 위축이 바로 그것이다. 현재 사업을 진행중인 건설 사업장들마다 현재도 어려운 자금조달이 PF 시장 위축으로 더 어려워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년 같으면 넘어갈 수 있는 사업장이 각종 사업추진 악재들이 겹치면서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경기 침체와 금리인상, 자재값 인상, 부동산 경기 하락 등의 여파로 민간 건설시장은 사실상 시한폭탄을 안고 있는 상황이 된지 오래다. 올해만 해도 충청지역에서 몇개의 건설사가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할 수 밖에 없는 처지로 내몰렸다. 현재도 자금 유동성 문제로 아슬아슬한 살얼음판을 걷는 건설업체들도 다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럼에도 사업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사업강행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건설업체들이 존재하는 것이 현재시점이다.

자금 유동성 문제에 직면하지 않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그들의 노력이 역부족이 될 수 있는 작금의 환경은 지역 경제에 큰 위기감을 전해주고 있다. 문제는 또 있다. 자금 유동성을 확보했다 할지라도 행정절차라는 또 다른 큰 벽에 부딪치고 있다. 지역 건설업체들은 법이 허용하는 테두리 내에서 빠른 행정절차를 이행해 줄 것을 간곡히 요청하고 있다. 그만큼 상황이 좋지 않다. 행정기관도 그들의 호소에 발빠르게 응답해야 한다. 자칫 그들의 도산으로 지역 경제에 먹구름이 드리워 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도 적극 행정지원에 나서야 할 것이다. 사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행정기관의 하나의 책무이기에 더욱 그렇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