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초과저축 최대 129조원
명목 국내총샌산 4.7-6% 수준
소극적 부채 상환 우려 목소리
부동산시장 유입땐 뇌관 될수도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코로나19(이하 코로나) 사태 3년동안 우리나라 가계의 초과저축이 100조원을 넘어섰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과 평가’ 보고서를 보면, 코로나 사태 3년간(2020~2022년) 가계부문 초과저축 규모는 101~129조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7∼6.0%, 민간소비의 9.7∼12.4% 수준이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초과저축을 ‘팬데믹 이전 추세를 웃도는 가계 저축액’으로 정의했다.

코로나 사태를 지나면서 가계의 저축 규모가 예년 수준보다 적어도 100조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초과저축 증가 원인으로는 코로나 사태 직후 소비 감소와 지난해 소득 증가 등이 언급됐다.

가계는 늘어난 저축으로 부채를 상환하거나 자산을 취득하는데 쓸 수 있었지만, 실제 초과저축을 소비 재원으로 활용한 부분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명목 가계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4.6% 늘었다.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7년부터 2019년(3.6%)보다 높은 수치다.

조주연 한은 동향분석팀 과장은 “금리 상승으로 부채 상환 유인이 커졌지만 우리나라 가계의 디레버리징(차입 축소·상환)이 주요국보다 상대적으로 더딘 모습”이라며 “2020~2022년 가계의 금융자산과 부채가 동시에 크게 늘었는데, 이는 우리 가계가 초과저축을 부채 상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한은은 대부분의 가계가 초과저축을 주로 예금·주식 등 유동성이 좋은 금융자산의 형태로 보유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 과장은 “유동성 좋은 금융자산 형태의 초과저축은 앞으로 실물경제 측면에서 부정적 소득 충격이 있을 때 완충 역할을 하면서 민간 소비의 하방 위험을 줄여줄 것”이라며 “다만 최근 주택가격 상승 기대가 커지는 가운데 가계 초과저축이 대출과 함께 주택시장에 재접근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주택가격 상승, 가계 디레버리징 지연 등으로 금융 안정에 부정적일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