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곤·충남본부 기자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애석하게도 쌀을 둘러싼 농민과 정부의 갈등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농민이 요구하는 초과생산분 시장격리 의무화는 쌀값 안정에 도움이 되겠지만, 지금보다 격리량이 많아지면서 정부의 재정 지출이 천문학적으로 늘 수 있다.

과거 정부가 벼농가의 소득 보전을 위해 지급한 변동직불금(목표가격 대비 실제가격 차액의 85% 보전)은 국제법 위반 소지가 있다.

쌀 생산량 자체를 줄이는 것이 큰 틀에서는 타당하기는 하나, 밭농사의 기계화율이 논농사에 비해 유의미하게 떨어지는 상황이다.

대다수가 노인인 농민이 벼를 포기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그렇다면 남은 쌀값 결정 요인은 소비량이다.

해외시장에서 국산 쌀의 가격경쟁력이 낮은 만큼 국내의 소비량을 늘려야 한다.

물론 오늘날 식품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는 것을 감안하면 쌀 소비 감소는 당연한 수순이기는 하다.

기자만 해도 하루 세 끼를 오롯이 쌀로만 채우는 날이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쌀이 아니어도 굶어 죽지 않는다는 생각으로 고기와 밀만 찾는다면, 쌀값은 점점 곤두박질치고 농민은 벼농사에서 손을 뗄 수밖에 없다.

식습관은 어릴 때부터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에서부터 국산 쌀을 활용한 아침식사를 제공하면 어떨까.

쌀 소비량 증가와 아동·청소년의 건강 증진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는 것이다.

맞벌이 탓에 자녀의 아침을 매일 챙기기 어려운 학부모의 고충도 더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급식비 지원 등 세부적인 사항을 조율해야겠지만, 쌀을 활용한 학교 아침급식은 농업, 식품 분야 전문가들도 필요성을 공감하는 사안이기도 하다.

올초 발발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국제 곡물가격이 급등한 가운데, 한국이 다른 국가에 비해 식량 가격 상승의 충격이 덜했다는 말이 있다.

국가 제1식량 자원이 쌀이 버티고 있었기 때문이다.

쌀은 곧 식량 안보이고, 그렇기에 산업이 유지되도록 하는 쌀값의 안정화는 그 중요성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쌀을 먹자. 그리고 미래세대가 쌀을 먹고 자라는 환경을 만들자.

시민의 식탁에서 쌀이 사라지지 않은 한 국가의 식량 안보는 흔들리지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