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 전봇대에서 철거된 정당 현수막이 바닥에 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 전봇대에서 철거된 정당 현수막이 바닥에 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선거 때마다 폐현수막이 다량 발생하고 있지만 재활용률은 높지 않다. 친환경소재 현수막 사용을 권장하고, 재활용을 활성화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선거를 한번 치르고 나면 폐수막이 산더미처럼 쌓인다. 공직선거법상 후보자는 정해진 선거 운동 기간 동안 자신의 소속 정당 등을 알리는 현수막을 해당 지역에 2장씩 걸 수 있다. 4.10총선에서 10만장 이상의 현수막이 거리에 내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선거 후 폐현수막 처리는 또 다른 과제다.

21대 총선 때 1739.5t, 20대 대선 대 1110.7t의 폐현수막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수막의 주성분은 폴리에스테르 종류의 화학제품이다. 폐현수막 처리는 크게 매립과 소각 재활용 등으로 나뉜다. 매립을 할 경우 장기간 썩지 않아 토양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다. 소각 시에는 다이옥신 같은 1급 발암물질을 내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매립과 소각은 가급적 지양하고 있다. 최근 들어 폐현수막 재활용에 관심을 갖는 건 고무적이라고 하겠다.

21대 총선 지역별 폐현수막 재활용률은 울산이 88.5%로 가장 높고, 경남 58.8%, 대구 54.9%, 강원 47.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충청권 지자체의 폐현수막 재활용률은 충남 21.6%, 충북 5.3%로 전국 평균에 크게 못 미친다. 폐현수막은 농작물 보호용 가림막이나 장바구니로 곧잘 활용된다. 앞치마로 변신하기도 한다. 충북 증평군은 현수막의 방수력을 이용해 ‘양심우산’을 만들었다. 아이디어가 산뜻하다. ‘버리면 쓰레기, 모으면 자원’이라는 말이 있듯이 폐현수막도 얼마든지 요긴하게 쓸 수 있다.

애초에 친환경 소재로 현수막을 제작하면 좋겠지만 비용문제 등으로 쉽지 않다고 한다. 파주시가 전국 지자체 최초로 현수막 친환경 소재 사용·재활용 조례 제정을 추진하고 나선 건 본받을 만 하다. 무엇보다 충청권 지자체는 폐현수막의 재활용률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울산, 경남의 폐현수막 재활용률이 높은 데는 분명 이유가 있을 거다. 벤치마킹하는 것도 친환경의 일환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