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곤·충남본부 기자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외연도(外煙島). 육지와 멀리 떨어져 안개에 가린 듯 까마득히 보인다고 해 명칭이 붙여진 보령시의 섬이다.

실제 외연도는 보령 대천항에서 서쪽으로 약 40㎞ 거리에 있을 정도로 세상과 단절돼 있다.

교육기관이라고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곳, 의료기관은 열악한 보건소 1곳뿐이지만, 섬주민 352명에게 외연도는 지키고 싶은 삶의 터전이다. 자급자족이 가능한 섬이 아니라면, 제1 정주여건은 단연 교통 및 운송수단이다. 생활에 필요한 생필품을 육지에서 들여와야 하기 때문이다.

외연도 섬주민 역시 초등학교 졸업 후 중학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진료 및 치료 목적으로 소위 큰 병원에 가기 위해서는 배를 타고 내륙으로 가야 한다.

이는 대천항에서 출발한 여객선이 외연도로 가는 경로에 놓인 호도 섬주민 185명과 녹도 220명에게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18일 여객선사와 대산지방해양수산청, 보령시, 충남도는 3개 섬주민의 하나뿐인 정기 여객항로(대천항~외연도)를 국가보조항로로 지정하기로 합의했다.

유가상승 등으로 경영난에 시달리던 여객선사가 같은달 10일 대산청에 항로 폐업을 신청하면서 빚어진 일로, 국가보조항로 지정 시 항로 운항에 따른 적자 전액을 국가가 지원하게 된다.

민간 여객선사가 두 손 든 항로를 국가가 책임지며 섬주민의 유일한 뱃길, 세상과의 통로를 지킨 것이다.

여객선사와 정부, 지자체의 대승적인 합의가 있기까지 험난한 과정의 연속이었다.

취재 과정에서 여객선사가 적자 부담을 지기 싫어 섬주민을 볼모로 삼은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를 들은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주목해야 할 점은 외연도와 호도, 녹도 섬주민에게는 여객선사의 경영난 등 대내외 여건에도 흔들리지 않는 안정적인 교통수단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민간이 책임질 수 없다면 국가가 나서야 하고, 이는 지자체가 매년 수십억에서 수백억원에 달하는 보조금을 시내버스 회사에 지급하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지방 소멸의 위기 속 지역 균형발전을 외치는 시대다.

최소한의 생활 여건에서는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만큼이나 신도심과 구도심, 도시와 농촌, 내륙과 섬의 균형도 중요하다. 섬주민의 발이고 다리인 정기 여객선을 보호하는 것이 곧 균형발전의 실천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