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세연·취재2팀 정치사회담당 기자

[충청투데이 노세연 기자] 국내 코로나19(이하 코로나) 전파가 시작된 이후 현재(2022년 3월 14일 기준)까지 충청권에서 총 60만 5747명이 확진돼 누적 확진 60만을 넘겼다.

충청권 전체 인구(554만 3195명) 중 약 11%에 해당하는 인원이 코로나에 감염됐던 적이 있거나 현재 확진자인 셈이다.

코로나가 지역사회에 만연하게 퍼져 가족·지인 심지어 본인이 감염돼도 "그러려니"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갈수록 코로나 증상이 경증으로 나타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고는 하나 이는 ‘대부분’의 경우이지 ‘전체’에 해당하는 경우는 아니다.

우리들의 주변엔 코로나로 인해 생명의 위협을 느끼고, 실제로 목숨을 잃는 이웃들이 있다.

바로 감염취약계층에 속하는 임산부·노인·영유아 등 ‘코로나 특수 환자’들이다.

코로나 자가 치료가 가능한 일반인들과 달리 이 환자들은 응급상황 시 음압병동·수술실 등 전용 특수 병상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연일 확진자가 폭증하는 상황 속 지역 의료시설은 이들을 수용할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보에서도 그간 코로나 특수 환자 병상 부족 문제를 수차례 다뤘었다.

출산을 앞두고 확진된 임산부가 분만가능병원이 없어 수도권으로 긴급 이송되고, 보호자와 함께 확진된 영유아가 대면진료를 받지 못하는 등 의료사각지대에 놓인 환자들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현재까지도 코로나 특수병상 부족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지 못해 확진 임산부 분만가능병원은 충청권 내 7곳에 불과하고, 일부 지역은 고작 20개 내외 병상으로 수천 명의 소아 확진자들을 맡고 있다.

취재를 하면서 코로나 특수 환자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눠보면 병상 부족 문제를 더욱 여실히 체감할 수 있었다.

약자들이 제도나 지침의 허점으로 적시적소의 치료를 받지 못하는 현실이 답답할 뿐이었다.

취재 중 알게 된 사실 중 가장 놀라웠던 점은 코로나 특수병상이 의료기관의 ‘협조’를 통해서 마련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병원이 거부하면 지자체 차원에서도 딱히 방도가 없다는 것.

지자체가 끊임없이 지역 상급병원들과 컨택을 실시해 코로나 특수 병상을 확대해나가는 수밖에 없었다.

수익성은 낮고 위험성은 큰 코로나 특수병상은 병원 입장에서도 양팔 벌려 환영하기 어려웠다.

강제성을 부여하지 못하는 지자체를 탓하기도, 위험부담을 무조건 수용하지 않는 병원을 탓하기도 애매한 상황 속 코로나 특수 환자들은 오늘도 고통 속에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의 적극적인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