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 경영 악화로 폐업을 하거나 빚내서 점포를 운영하는 소상공인이 많다. 각종 경제지표가 우울한 상황에서 소상공인의 불안감은 증폭되고 있다.

최근 국세청의 자영업자 폐업률(2018년 기준)에 따르면 광주와 울산에 이어 대전이 세 번째로 높았다.

뿐만 아니라 시중은행 대출금 연체율(지난 6월 말 기준)도 대전은 전국 4위를 기록했다. 갈수록 대출은 늘어나고 신용등급이 낮아져 고리의 대출을 받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장기적으로 이어지는 경제 불황과 급격한 최저임금 상승 등으로 인해 지역 소상공인은 생존의 늪에서 허우적거린다. 골목상권, 전통시장, 동네상권 등 지역경제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상권 침체도 소상공인이 비명과 한숨을 쏟아내게 하고 있다.

실제 대전의 핵심 상권이 활기를 잃어가고 있다. 둔산동, 봉명동의 소상공인은 장기화된 경기 침체에 인건비와 임대료도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대출 돌려막기가 일상이 됐다.

소상공인은 매출액 감소로 가게를 내놓고나 폐업을 고민하고 있지만, 예전처럼 높은 권리금을 주고 들어오는 사람이 없어 고민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권리금을 포기하고 나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권리금이 아예 없는 '무권리 매물'이 들어 급속히 늘어났다.

권리금은 임차인이 다음 임차인에게 점포를 넘길 때 받는 웃돈으로, 실물경기를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다.

무권리 매물이 등장했다는 건 초기 투자비 회수를 포기하고서라도 서둘러 장사를 접어야 할 만큼 영업난이 심각하다는 뜻이다. 그나마 불경기에도 굳건하게 버티던 은행동, 지하상가 등 전통 상권으로도 무권리 점포 증가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의 '2018년 기준 소상공인 실태조사' 결과 소상공인을 가장 힘들게 하는 원인으로는 '상권 쇠퇴(45.1%)'가 꼽혔다. '경쟁 심화(43.3%)'나 '원재료비(30.2%)', '최저임금(18%)'도 소상공인의 어깨를 무겁게 했다.

소상공인이 살아야 지역 경제가 성장할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 국회 등 정책당국은 소상공인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정책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 소상공인 정책 개발과 제도 개선 등을 통해 2020년 경자년에는 소상공인의 위기보다 행복과 성공이 되길 기원한다. 이심건·대전본사 취재2부 beotkkot@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