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화장건수가 사망 대비 40.2%, 납골률이 25.5%로 선진국형에 한걸음 다가선 것으로 파악됐다. 협소한 국토와 환경의식, 후대관리의 어려움 탓에 화장을 선호하는 의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말해 준다. 그러나 화장·납골시설 확충을 위한 예산도 문제이지만, 관련 시설 입지를 선정해놓고도 지역이기주의에 막혀 무산되기 일쑤다. 종합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화장·납골문화의 밑그림을 그릴 때다.

인간은 태어나면 누구나 죽게 마련이다. 그래서 유가족들은 고인(故人)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는 문제로 고심을 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장묘시설 건립을 무조건 반대하는 이른바 님비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유럽에선 도심지 주택가 한복판에 소규모 공원묘지를 조성, 시민 휴식공간과 나아가 유명인사 안장시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삶과 죽음이 어깨를 맞대고 공존하는 자연스러운 정경은 오히려 삶에 의욕과 역동성을 부여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첨단 화장기술을 활용, 무공해 시설을 권역별로 유치하고 환경친화적인 납골시설을 조성하는 길만이 당면한 장묘문화의 근본 해법이다.??

대전시의 경우 공설 납골시설이 포화상태를 빚는 2013년 이전에 획기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인 만큼 화장·납골시설의 건립 및 운영은 행정관청 주도에서 민간으로 대폭 이관하는 방안도 검토할 단계다.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신규투자를 유도하되 당국은 철저한 관리감독체제로 전환하면서 점차 확산되는 화장 선호 추세에 따른 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주거지구 자투리땅을 활용한 소규모 공·사립 매장, 납골공간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러자면 미래지향적인 신념 아래 사회적인 합의 시스템 구축이 관건이다. 환경오염과 미관 훼손을 최소화하는 가운데 자연스러운 장묘문화가 정착되도록 서둘러 지혜를 모아야할 시점이다. 집요한 지역이기주의의 높은 벽도 언젠가 닥쳐올 자신의 죽음을 생각한다면 조금 겸허해지고 너그러워질 때도 되지 않았는가.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