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대덕 R&D특구 지정에 맞서 대구테크노폴리스와 광주첨단과학단지도 R&D특구로 지정할 수 있도록 독자법안을 추진키로 했다고 한다. 이쯤 되면 대덕 R&D특구 흔들기가 노골화된 느낌이다. 대덕 R&D특구 지정에 편승해 대구와 광주를 은근슬쩍 끼워 넣자는 의도가 아니고 무언가. 행여 정치적 계산이 깔려 있는 게 아닌지 의구심마저 들 정도다.

한나라당은 중부·동남·서남권 등 권역별 균형발전을 위해 R&D특별법은 재고돼야 한다는 얼토당토한 논리를 펼치고 있다. 대전이 R&D특구를 하니까 대구와 광주도 해야 한다는 주장은 분명 억지 주장에 불과할 뿐이다. 이들의 논리대로 여기저기 퍼주기 식으로 R&D특구를 내준다면 굳이 특구란 명칭을 사용할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이러니 포항 등 다른 지역까지 가세해 R&D특구 지정을 요구하고 나서는 것 아닌가.

R&D특구는 기본적으로 R&D인프라가 구축된 곳이어야 한다는 데 누구도 이의를 달지 못한다. 이런 면에서 대덕 R&D특구는 대구나 광주와는 분명히 차별되는 특구 지정의 명분이 있다. 대덕이야말로 지난 30년 동안 R&D 인프라를 축적한 노하우가 스며 있는 지역이다. 아무리 지역 안배도 좋지만 R&D특구 지정은 국가 차원에서 고려해야 마땅하다. 굳이 대구와 광주를 염두에 두고 있다면 대덕 R&D특구를 지정해 모델을 만든 뒤 추후 지역 특성에 맞는 R&D특구를 고려하는 게 순리다.

대덕 R&D특구 지정을 놓고 돌아가는 작금의 양태는 한시도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지경이다. 한나라당은 급기야 정부조직법 개정과 연계한다는 배수진을 치고 있으며 일부 여당 의원들조차 호의적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다가 대덕 R&D특구법안 자체가 국회 상임위에서 부결되는 것 아닌지 걱정이다.

이제 반대논리를 잠재울 특단의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지역과 당파를 초월해 반대 의원들을 설득하고 이해를 구하는 전방위 작업이 절실하다. 대덕 R&D특구법 제정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각오 아래 지역의 모든 역량을 결집해 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