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정수도 건설 예정지인 충청권에 사람과 돈이 몰려들고 있다는 통계청 발표는 행정수도 이전에 따른 장밋빛 파급효과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정작 행정수도가 들어서게 된 예정지역 주민들의 불안감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 누대에 걸쳐 살던 고향 땅을 버리고 떠나야 할 원주민들의 착잡한 심정들이 그제 있었던 주민대표 간담회에서 여과 없이 표출됐다. 이주를 앞두고 있는 주민들은 어디로 가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난감한 일들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과거 대청댐 등 수몰지역 주민들이 겪었던 이주에 따른 고통이 바로 이 지역에서 되풀이하게 됐음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신행정수도 입지로 확정된 연기·공주지역 2160만평에 포함된 4개면 24개 마을 주민은 3500세대 1만 2000여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들에 대한 효과적인 이주대책은 성공적인 신행정수도 건설에 못지 않게 우리의 관심사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예정지 토지의 50%를 외지인이 차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달랑 집만 가지고 있거나 남의 땅에 농사를 짓던 사람들의 처지는 그야말로 막막하게 됐다. 보상받을 건더기도 없어 빈손으로 떠나야 할 이들은 또 어찌하란 말인가. 내 땅을 갖고 있는 사람들 역시 2004년 1월의 기준 시가로 보상을 받게 되면 똑같은 생활 터전을 어떻게 마련해야 할지도 의문이다.

신행정수도 건설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국가적 명제인 동시에 원주민 입장에서는 어떻게든지 감내해야 할 운명으로 떠올랐다. 따라서 정부는 원주민의 이주 및 생계대책에도 만전을 기해야 할 입장이 됐다. 이날 간담회에서 제기된 문제들은 원주민들에게 있어선 모두가 절박한 과제로 인식된다. 원래 살던 지역과 가까운 곳에 이주단지를 건설한다던가 묘지 이장에 대한 대책 등도 소홀히 할 수 없는 과제다. 무엇보다 신행정수도 건설과 같은 국가적 대사가 어느 누구에게도 희생이 강요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