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낙원 한국예총대전시연합회장

대전시는 일류 경제도시 달성을 위한 핵심과제 발표와 함께 지역 문인 지원 방안 및 독서환경 개선 방안 등을 제시하며 경제와 문화를 함께 도모하겠다고 밝혀 시선을 끌었다.

이는 경제도시 발전에 지역 예술인의 창작 활동을 포함해 경제와 문화를 함께 상생 발전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일류 문화 도시로 가기 위해선 세계화 시대에 맞게 대전의 예술문화 관련 기관과 단체의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

대전의 예술문화는 변화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만들고, 그 기회를 통해 성장할 것이다. 혁신은 지식만으론 되지 않고, 창의력이 필요하다.

바로 예술문화 관련 기관과 단체는 창의력을 발휘해 일류 도시를 만들어 가는 데 힘을 모아야 할 시점이다.

하지만 지역문화 정체성 확립, 시민의 창조적 문화 활동 지원, 문화 향유 기회 확대, 지역 문화예술 인력 육성 등 고품격 문화창조도시 구현을 설립목적으로 하는 대전문화재단의 현재 모습을 시민 누가 이해 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

문화재단은 내부의 갈등이 생기면서 대표가 임기를 채우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는 문화예술 발전에 앞장서서 시민과 예술인이 즐겁고 행복한 도시를 만들어야 할 재단이 걸림돌이 되는 것이다.

이런 문제와 갈등의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에게 돌아간다. 관이 주도하던 시절이 그리울 정도로 문화재단을 만들어 놓고도 갈등의 잡음은 점점 커졌고 심각해졌다.

문화재단 내부의 문제와 갈등의 이유가 시민을 위하고 지역 예술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싸움이라면 아마도 시민은 크게 응원해줬을 것이다.

하지만 재단은 매년 지원사업의 평가에 대한 불신을 키웠고 고소 고발까지 벌어졌다.

예술인은 재단에서 지원받으려면 그들에게 고개를 숙여야 한다는 말까지 나돌고 있다.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예술인과 시민 누구도 응원해 주지 않는 싸움과 갈등을 벌인 재단의 일원들에게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이에 이장우 시장은 통폐합 가능성과 함께 “강력한 지도력을 가진 대표이사가 필요하다”라고 밝혀온 만큼, 그런 역량을 갖춘 대표이사를 통해 문화재단에 대한 대대적인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문화예술 카르텔 타파와 관성 타파 많이 일류 문화 도시를 만들어 갈 수 있다.

대전문화재단은 시민을 문화의 주인으로 생각하고, 혁신과 창조를 선도하며 따뜻한 동료애로 행복한 직장 문화를 만드는 충직한 일꾼으로서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 지역의 예술문화가 성장하고 시민들은 문화 향유를 마음껏 누릴 수 있게 된다.

그 책임을 위해서라도 재단이 존재할 모습을 혁신과 개혁을 통해 보여줘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