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인지도·참여 기피 등 성과 못내
전담 인원 323명 전체 1.8% 불과
인력·예산 등 시스템 혁신 제언도

세종국책연구단지 전경.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세종국책연구단지 전경.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충청투데이 이정훈 기자]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의 중소기업 지원 사업을 보다 활성화 하기 위해 관련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정책 제언이 나왔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최근 ㈜혁신과경제연구소(수행기관 )에 의뢰해 진행한 ‘출연연 중소기업 협력지원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를 공개했다.

25개 출연연은 설립 목적 중 하나인 사회적가치 실현에 따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및 노하우 전수, 수요기반R&D 지원, 연구인력 파견, 패밀리기업 지원 등 협력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혁신과경제연구소는 각 출연연 별 중소기업 지원사업이 인지도가 떨어지고, 일반 연구원들의 참여 기피와 공급자 위주의 운영 방식 등으로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우선 기술지도 자문 등 3대 유형 12개 분야로 나눠 진행되고 있는 중소기업 지원사업의 전담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출연연의 기업지원 전담인력은 323명으로 출연연 전체 인력(1만 8449명)의 1.8%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167명은 기업에 파견 돼 있지만 R&D 수행 중소기업만 6만여개에 달해, 사실상 기업 360개 곳 당 1명의 인력이 담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기관 당 기술사업화 활동·운영비도 매년 감소(2013년 48억 9000만원→2018년 29억 8000만원) 추세에 놓여 있다고 꼬집었다.

인력과 예산 등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단기 애로 사항 해결 위주의 사업으로 이뤄져 있어 우수기술 및 우수 기업에 대한 집중지원 체계가 미흡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어 중소기업 지원 사업의 새로운 변화가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사업 활성화를 위해 △근본적인 개선을 통한 시스템 혁신 △지원 대상인 타깃과 지원 목표 명확히 설정 △구체적인실천전략 재수립 △단순한 지원대상이 아닌 기술사업화 실현의 협력파트너로 인식 전환 △중소기업 역량별, 규모별로 유형화 △연구기관 및 구성원 개인 차원의 인센티브와 연결 △직무훈련 강화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NST 관계자는 "출연연마다 각종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이번 정책 연구를 통해 개선 사항이 많이 도출됐다"면서 "시스템 개편 등을 통해 출연연은 우수 기술 지원, 기업들은 접근성 향상 등 선순환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활성화 방안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classystyl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