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교·취재2팀 교육문화담당 기자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예술인도 지역 콘텐츠니까요. 타 지역에 비해 지원이나 협조가 뒤떨어진다면 당연히 유출되지 않겠습니까."

문화예술인들의 처우에 관해 충남도의 한 공무원이 내놓은 말이다. 문화와 예술, 관광 등 분야를 대하는 국민들의 안목은 전례 없이 높은 수준이다. 이제는 이렇다 할 콘텐츠가 없는 지역엔 사람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다. 이런 관점에서 지역 예술인들의 가치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전국 각지의 자치단체는 지역 예술인 유출을 막기 위해 예술인복지지원센터 설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미 수 년 전 설립을 마친 뒤 지역 특성에 맞는 복지사업을 추진하는 곳도 상당수다. 그러나 대전에선 설립 추진 계획조차 안갯속에 놓인 실정이다. 공간 문제로 대전문화재단 이전이 선행돼야 한다는 게 이유였는데, 타 지역과 사뭇 대조적인 모습이다. 하세월을 보내다간 내실을 채울 콘텐츠를 허망하게 놓칠 수도 있다.

이미 손을 떠나버린 콘텐츠도 상당하다. 근대문화유산을 떠올리는 국민 상당수는 인천과 전북 군산 등을 먼저 언급할 것이다. 대전에는 근대건축물이 200개 이상 산재된 것으로 보고됐지만 미래유산이나 콘텐츠로 승화시키는 데에는 역부족인 모습이다. 대표적인 건물 중 일부는 대형 안경체인점으로 쓰이거나 정부 부처의 연수원으로 검토되기도 했다. 이와 함께 무려 한 세기에 해당하는 수령의 근대건축물 인근 향나무를 납득 못할 이유로 베어버리거나 건축물이 개인 소유로 활용되는 과정을 지켜보기만 하는 상황들이 반복되고 있다.

그럼에도 문화예술 관련 신규 사업이나 공약은 여전히 수십에서 수백억 원을 들인 공연장 건립 등 토목공사에만 치우치고 있다. "대전시민들이고, 자치단체장이고, 모두 관심과 의지가 없었던 것" 스러져간 근대유산을 두고 한 시민단체 관계자가 기자에게 내뱉은 성토다. 문화예술의 부흥은 하루 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 토목공사나 새로운 아이템을 것만으론 불가능하다. 한 시대의 응축된 역사다. 집행부와 시민들의 꾸준한 지원과 노력 없인 손댈 수 없는 영역이다. 콘텐츠가 경제효과를 보이는 데까지는 지난한 시기를 보내야 할 것이다.

최근에는 대전시장 선거에 나선 여야 후보들의 간담회에서 예술인 대상 복지사업과 근대문화유산의 공공매입 등이 일부 거론되기도 했다. 문화예술인이 지역의 자산이자 콘텐츠라는 인식 하에 예술인 의무 고용까지 언급되고 있는 시점이다. 지속가능성이 없는 서투른 부채질은 오히려 문화예술계 곳곳에서 부작용을 낳은 바 있다. 내달 1일 당선될 대전시장이 ‘노잼도시’의 오명을 딛고 대전의 문화 부흥을 위해 어떤 일들을 펼쳐나갈지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