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유영·취재2팀 교육문화담당 기자

90년대생들에게 피아노·태권도·미술 학원 중 학창시절 단 한곳이라도 다녀본 곳이 있느냐고 묻는다면 과반수 이상이 ‘그렇다’고 답할 것이다.

일명 90년대생들의 3대 학원이라 불리는 이 학원들은 90년대 중반부터 높아진 한국의 사교육 열풍의 시작점이기도 했다.

사교육은 시대에 따라 빠르게 진화를 거듭했고 10대의 끝에 들어선 나는 자연스럽게 인터넷 강의(인강) 흐름에 탑승하기도 했다.

지금도 그 영향력은 끝없이 팽창 중이다. 최근 교육부와 통계청이 공동으로 발표한 ‘2021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율은 75.5%로 학생 4명 중 3명 이상이 사교육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충청권 4개 시·도의 경우 사교육 참여학생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대전 48만 1000원, 세종 45만 6000원, 충북 40만 9000원, 충남 38만 7000원이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당시와 비교했을 때 충청권 4개 시·도에서 모두 사교육비 지출이 증가했다.

감염병 장기화에 따른 학교 교육 활동 위축과 학습에 대한 학부모의 불안·우려가 사교육을 늘리는 선택으로 이어진 것이다.

기초학력 저하 등 학생들의 평등한 출발선을 책임지는 공교육의 붕괴까지 우려되는 상황 속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사교육비 지출 격차도 지속해서 벌어지고 있다.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이 올해 ‘교육회복 종합방안’을 추진하면서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교육결손과 사교육 증가 등에 적극 대응하고 주요 과제들을 더 확대 추진한다고 밝힌 만큼 향후 마련되는 대안들은 지켜볼 일이다.

공교육의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사교육의 의존도가 높아지면 가장 큰 상처를 입는 건 아이들이다.

아이들에게 출발부터 한계점을 정해주지 않기 위해서라도 공교육 혁신은 절실하다.

사교육(私敎育)의 사전적 의미는 공교육을 보충하기 위해 제도권 밖에서 이뤄지는 교육이다.

말 그대로 공교육의 보완재 역할을 수행할 뿐 대체제로서 그 전부가 되어선 안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