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순익·취재2팀 교육문화담당 기자

[충청투데이 강순익 기자] 교육감 선거는 ‘깜깜이 선거’라고 불린다.

대선, 총선 등 다른 선거에 비해서 중요도가 낮게 인식돼 투표율이 저조하기 때문이다.

2010년, 2014년, 2018년 대전 교육감 선거 득표율만 봐도 알 수 있다.

2010년, 2014년에 치뤄진 교육감 선거에서 당선 후보들의 득표율은 50%를 넘지 못했다.

2010년 김신호 전 교육감은 41%, 2014년 설동호 교육감은 단 31%의 득표율로 당선됐다.

2018년 선거에서 설동호 교육감이 52% 득표율로 그나마 절반을 넘겼다.

이마저도 당시 후보군이 성광진 현 대전교육연구소장뿐이라 절반을 겨우 넘긴 것이라고 보는 게 타당하다.

교육열이 드높은 우리나라 현실의 상황을 감안하면 참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자식 교육엔 누구보다 관심 높지만 교육정책은 정작 관심이 적은 것이다.

물론 이는 교육감 선거에 책정된 과도한 선거비용, 후보자 난립과 같은 구조적인 탓도 크다.

교육정책에 관해 지역에 맞는 교육정보와 의제가 지역민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는 부수적인 요인도 거든다.

하지만 민주주의 국가에서 지역 교육 대표를 뽑는 것은 결국 유권자다.

유권자들 스스로 지역 교육 의제에 깊은 관심을 갖고 앞으로 우리 아이들의 미래 교육환경을 위한 신중한 검토와 합리적인 선택이 요구된다.

지역 교육감은 4년 동안 그 지역의 유·초·중등 교육을 책임지는 수장이다.

공약으로 설정된 교육정책이 임기 4년 내내 집행된다.

4년 내내 펼쳐지는 정책이 그 지역의 미래 교육환경을 좌우한다.

코로나19 장기화와 더불어 다양한 교육계 문제들이 대두되는 만큼 유권자들 역시 이번 후보자들의 미래교육에 대한 비전제시와 정책을 꼼꼼히 분석해 신중한 한 표를 행사해야 할 것이다.

결국 깜깜이 선거를 빛으로 밝힐 수 있는 사람들은 유권자들 뿐이다.

이번 교육감 선거도 깜깜이 선거의 연장선에 놓을 수 없다.

우리 모두 올해 6월 교육감 선거에선 깜깜이 선거의 오명을 씻어낼 수 있는 투표율을 보여주자.

교육은 한 사회의 백년대계를 좌지우지한다고 한다.

우리의 한 표가 충청권의 백년대계를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의미다.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교육을 물려줄지 선거로 답하고,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6월 교육감 선거가 됐으면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