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만 한서대학교 교수

대한민국 국가경쟁력인 K-방역모델의 국제표준(ISO) 제정과 K-팝 등의 한류 열풍처럼 이제는 K-산관학연협력 모델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열린 교육부 6차 국가산학연협력위원회는 회의를 통해 미래 혁신 인재양성 및 신사업 변화를 견인하는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LINC 3.0) 육성사업 추진 방향을 확정·발표했다. 위원회는 LINC 3.0사업을 기술혁신 선도형, 수요맞춤 성장형, 협력기반 구축형 3단계 유형별로 나눠 지원키로 결정했다. 그간의 LINC 사업을 살펴보면 1단계(LINC)에서는 기술혁신형 및 현장 밀착형 대학을 선정해 지원했다.

2단계(LINC+)에서는 산학협력 고도화형과 사회맞춤형 학과중점형 대학을 선정해 내년 2월까지 지원한다.

3단계(LINC 3.0)은 대학별 특성과 산학연협력 역량을 고려해 유형을 나눴다.

정부는 1~2단계 사업을 통해 대학의 경쟁력을 높였고, 기업 및 지역사회의 혁신 성과를 만들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에 따르면 한국의 국제경쟁력은 미흡한 수준이고, 2019년 국제지표 상황에서도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분야별 4차산업혁명 적응력에서 한국은 기술숙련도 23위, 교육시스템 19위, 노동시장 유연성 83위로 종합순위 25위(스위스USB, 2016)에 그쳤다. 이에 필자는 LINC 3.0사업에서 추가돼야 할 부분으로 지자체와의 협력생태계 구축도 함께 해야 된다고 주장한다.

대학과 기업, 지자체가 공동 협력 체계를 만들어 지역 혁신을 통해 지역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함께 성장하는 공유·협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자체 공무원들의 패러다임 전환도 절실하다.

대학은 미래산업 대비 인재양성 체계화를 추진하고, 기업도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산학연계 교육모델을 발굴해야 한다.

지자체 역시 지역 대학과 기업과의 공생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혁신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

산학협력 차원이 아닌 산관학 혁신 모델을 주문했던 이유도 저출산, 고령화, 지방위험지수 향상 등을 심각히 받아들여 빠르게 성장모델을 만들어야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다.

K-산관학연협력 성공 모델을 만드는데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