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입주업체 자체 시설개선 등 성과 거두기 어렵다 판단
대전산단 內 입주제한·유해업종 이주할 대체 입지 검토
산업부 상생형 일자리·대개조 공모 참여… 국비확보 구상

▲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 대전시 제공

[충청투데이 이인희 기자] 대전시가 시행 5년이 경과한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을 대체산단 조성 등 새로운 방향으로 추진한다.

도시 발전에 따라 도심 내 굴뚝산업으로 자리잡으면서 재생사업의 즉각적인 효과가 요구되는 상황을 고려, 시는 재검토를 통해 대전산단의 환경 개선 및 기술 고도화까지 함께 이루겠다는 방침이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대전산단 토지 효율화 방안 모색을 위해 대체 가능한 산업단지 부지에 대한 검토에 착수하는 등 재생사업 시행계획 변경에 들어간다.

1970년대 조성된 대전산단은 도시 발전과 함께 토지 이용간 마찰, 도로 및 주차장 등 기반시설의 부족, 소음공해 및 환경오염 등 다양한 문제가 계속돼 왔다.

이에 따라 시는 2009년 국토교통부로부터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우선사업지구 선정 이후 2012년 대전산단 재생사업지구를 지정, 2016년 재생사업의 시행계획 고시와 함께 본격적인 재생사업을 진행해 왔다.

재생사업 추진과 함께 시는 도로조성 사업 등과 동시에 산단 인근 주거 환경을 저해하는 레미콘, 아스콘업체 등 업종의 이전을 추진해 왔다.

이들 업종에 대해선 앞서 추가 조성에 나섰던 동구 하소산단과 서구 평촌산단으로의 이전을 추진했으나 결과적으로 교통 접근성 취약 및 하소·평촌산단 인근 주민들의 이전 반대로 무산됐다.

이밖에 시는 민간투자 유치를 통해 재생사업 동력을 마련하고자 했으나 재생사업 진행 간 산단 내 입주업체들의 영업손실 등 간접보상 규모가 큰 탓에 실패에 머물렀다.

이로 인해 현재 대전산단 재생사업은 사업지구 내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전면매수 구역을 제외하고는 입주업체의 자체적인 시설개선 등 재정비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시는 이 같은 재생사업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큰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재생사업 방향 재정립에 돌입하고 있다.

우선 하소·평촌산단 2곳이 대체산단으로서의 역할에 실패한 점을 분석해 대전산단 내 입주제한업체나 유해업종을 이주시킬 대체산단 입지를 새롭게 검토하고 있다.

대체산단은 교통 접근성과 동시에 주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는 곳을 우선순위로 한다.

산단 조성 간 동반되는 개발제한구역 해제 규모는 최소 20만㎡ 이상을 고려하고 있으며 시는 대전산단과 입주제한업종과 합리적인 이전 방안도 함께 마련할 계획이다.

입주제한업종의 대체산단 이전 외에도 현재의 입주제한에 따른 경영활동 제약을 개선한다.

시는 금강유역환경청과의 협의를 통해 현재의 과도한 입주제한 완화를 유도하는 한편 기존 산단 입주업체를 대상으로 인센티브 부여 등을 통한 업종전환도 유도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산단 내 입주업체를 대상으로 한 기술 고도화를 통해 업체 자생능력도 향상시킬 방침이다.

이를 위한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의 상생형 일자리 및 대개조 공모사업 등을 통해 국비도 지속적으로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고현덕 시 일자리경제국장은 “도심 내 입지를 고려한 유해업종의 이전과 함께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입주제한업종 완화 등으로 대전산단을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의 한 축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