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월 가안 확정 전망 … “시간없다”
충청광역철도망 “164만 도력 모아야”
시민단체 ‘선전포고’ 이후 감감무소식
충청신수도권 충북 소외 우려 목소리

[충청투데이 이민기 기자] 청주 도심을 통과하는 충청권광역철도망 구축안의 정부계획 반영을 위해 충북도와 정치권이 총력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1조원 규모의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유치전이 오버랩된다. 일각에서는 방사광가속기 청주(오창) 유치를 위해 그야말로 '도력'(道力)이 집중됐던 점을 거론하며 "164만 충청북도의 힘"이 총결집해야 할 시점이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장차 도래할 충청신수도권 시대는 물론 메가시티 내 변방에 머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도력이 뭉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래 100년 먹거리로 불리는 방사광가속기 유치 때 충북 전역에서 달아 올랐던 열기가 없다는 것이다. 당시 전국 공모에서 충북과 전남은 최종라운드에서 1대 1 '맞대결'을 벌여 치열한 공방을 주고 받았다. '총성없는 전쟁'이었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충북과 전남은 사활을 건 숨막히는 팽팽한 승부를 펼쳤다.

단적인 예가 유치 서명운동이었다. 충북에서는 충청권의 지원을 받아 150만명이, 호남을 등에 업은 전남 역시 250만명이 각각 서명운동에 동참했다. 충북과 전남이 모든 힘을 기울였다는 방증으로 읽힌다. 유치전에서 전남지역 정치인들은 공모 막판까지 국무총리실 등 권부(權府)를 찾아 집단행동을 하며 '판'을 뒤흔들었고 시민단체, 언론까지 가세해 충북에 최고 수위의 압박을 가했다.

이에 충북지역은 충북도와 지역 정치권이 선봉에 서서 '맞불'을 놓으면서 대화력전을 치렀고 결국 방사광가속기를 유치하는 쾌거를 이뤘다. 균형발전지방분권충북본부 등 시민단체가 고비 때마다 적극적으로 지원사격을 한 점도 '한 몫'했다는 평이 적잖다.

도내 한 유력인사는 "충북이 전통적으로 정치세(勢)가 강한 전남을 상대해 승리한 가장 큰 원인은 164만 도민들이 '혼연일체'(渾然一體)로 뭉쳤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그러면서 "시민단체가 불을 붙인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충북지역은 신축년 새해 첫 난관에 맞닥뜨렸다. 문제는 방사광가속기 유치전 때와 사뭇 다른 상황이 전개되고 있는 점이다. 1조 6000억원 규모의 청주도심을 통과하는 충청권광역철도망 구축안의 정부계획 반영전에 열기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정치권의 한 핵심관계자는 "뒤집기를 해야 하는데 시간이 촉박하다"고 탄식했다.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건설사업 노선도. 연합뉴스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건설사업 노선도. 연합뉴스

국토교통부는 신탄진~조치원~오송~청주시내~오근장(청주국제공항) 광역철도 노선안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다음달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가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가안이 사실상 국토부의 최종안으로 굳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 앞서의 정치권 관계자는 "시민단체가 궐기해야 충북지역이 들썩일 텐데…. 이러다가 제대로 목소리도 한번 못내고 청주도심 노선안이 무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시민단체는 달랑 성명서만 한 장을 내고 '행동화'는 미루고 있다. 때문에 균형발전지방분권충북본부가 21일 성명서에서 "164만 충북도민은 물론 550만 충청인의 의지와 역량을 하나로 결집해 대정부투쟁도 불사하겠다"고 경고한 게 무색해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충청권 내 충북만 철도서비스에서 소외될 수 있는 정부계획안 확정이 코앞인데 시민단체가 '선전포고'만 하고 감감무소식이라는 얘기다.

충북, 세종, 충남, 대전 등 충청권 4개 시·도는 지난해 11월 하나의 생활권·경제권을 지향하는 메가시티 추진에 합의한데 이어 12월 이를 위한 선행 과제로 신탄진~조치원~오송~청주시내~오근장(청주공항) 광역철도 노선안 등 3건을 국토부에 건의했다. 만일 충북의 수부도시 청주가 정부계획에서 빠질 경우 자연스레 충청권 메가시티 형성에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철도로 생활권을 묶는 방안에서 청주만 없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메가시티 내 한 축의 역할을 못하면 훗날 도래할 가능성이 점쳐지는 충청신수도권 시대에서도 충북지역은 변방에 머물 수 있다는 게 일각의 관측이다. 실제 거여 더불어민주당발 국회 세종시 이전이 공론화됐고 훗날 청와대를 비롯한 정부기관의 충청권 이전 현실화도 거론되고 있다.

이민기 기자 mgpeace21@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