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투데이 한유영 기자] 대전·세종 상생협력 협약이 ‘경제자유구역’ 조성을 통한 경제공동체 실현으로 첫 발을 뗀다.

통합경제권 형성으로 대전·세종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 효과를 극대화 한다는 복안이다.

12일 대전·세종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2020년 대전·세종 상생 협력 업무협약’ 체결 이후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은 이날 세종시가 발표한 경제산업국 주요 업무계획에 담겼다.

세종시는 대전시와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공동 추진해 광역 경제공동체를 조성하고 세종시 2030 미래먹거리산업 마스터플랜을 수립, 지역 산업체계를 개편하는 청사진을 내놨다.

현재 경제자유구역 추진을 위해 워킹그룹을 구성하는 등 구체적인 실행 계획 마련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의 경제공동체·경제통합이 최종 목표다.

이를 위해 대전·세종 경계지역에 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하고 지역 특화분야 간 융합과 연계를 위한 산업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연구개발(R&D) 기능 향상과 창업 생태계 활성화까지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다는 계획이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내부적으로는 대전 신동·둔곡지구와 세종 스마트국가산단을 하나로 묶어 특화기업을 유치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의 구상일 뿐 구체적인 입지는 정해지지 않았다는 게 대전시의 설명이다.

시는 내달 말까지 산단조성을 포함한 경제자유구역 추진안을 큰 틀에서 세종시와 합의한 후 세부 추진 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진행할 예정이다.

용역 이후에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절차에 따라 산업자원통상부(이하 산자부)에 정책을 제안할 계획이다.

경제자유구역 지정 시 노동·경영 관련 규제 특례가 적용되고 투자 규모에 따라 지방세와 관세가 감면되는 등 여러 가지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전국 자유경제구역은 모두 9곳이다.

인천, 부산진해, 광양만권, 대구경북, 경기(황해), 동해안권(강원도), 충북, 울산, 광주 등이다.

산자부는 지난해 광주·울산 등 3곳을 경제구역으로 추가지정 하면서 경제적 파급효과로 국내외기업 투자 8조 3000억원, 생산유발 23조 2000억원, 고용유발 12만 9000명, 부가가치유발 8조 7000억원 등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현실화까지 시간이 남아있음에도 불구 지역에서 기대감 섞인 목소리가 흘러나오는 이유다.

대전시 관계자는 “세부적인 계획이 담기기 위해선 대전과 세종시 간 의견조율과 용역 과정 등 거쳐야할 단계들이 아직 많이 남아있다”며 “양 도시의 상생발전과 상호보완을 위한 최적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유영 기자 yyh@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