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의 첫 공동 연구 결과 국내 초미세먼지(PM2.5)의 32%는 중국에서 비롯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이 배출한 미세먼지가 중국에 끼친 영향은 2%에 불과했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20일 한중일 3국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책 결정자를 위한 ‘동북아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국제 공동연구(LTP)’ 요약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중·일 연구진이 각국 관측 지점에서 2000년부터 2017년 기간 동안 장기 관측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국 모두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농도가 감소 추세였다.

특히 초미세먼지는 연평균 농도의 경우 2015년 대비 지난해 농도가 한국은 12%, 중국은 22% 감소했다. 일본은 2015년 대비 2017년 농도가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일 도시별 초미세먼지 상세 기여율. 사진=국립환경과학원 제공
한중일 도시별 초미세먼지 상세 기여율. 사진=국립환경과학원 제공

2017년 대기질 모델 기법을 이용해 중국 6개 도시(베이징·톈진·상하이·칭다오·선양·다롄), 한국 3개 도시(서울·대전·부산), 일본 3개 도시(도쿄·오사카·후쿠오카) 등 주요 도시의 국내외 초미세먼지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체기여율은 한국이 연평균 51%, 중국 91%, 일본 55%로 나타났다.

중국 대기 오염 물질이 한국 3개 도시에 미치는 영향은 평균 32%, 대(對) 일본 영향은 25%로 파악됐다.

고농도 기간만 한정할 경우 중국 기여율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이날 오전 10시 30분에 열린 브리핑에서 “12월~3월 등 미세먼지 고농도 기간에는 연평균보다 국외기여율이 10~20% 정도 올라간다고 과학원에서 발표한 적 있다”며 “올해 2월 27일부터 3월 초까지 고농도 시기에는 국외 기여율이 80%, 그중 중국 기여율이 70%포인트 정도로 기억한다”고 밝혔다.

반면 한국 대기 오염 물질이 중국과 일본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2%, 8%로 낮게 나타났고, 일본 대기 오염 물질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2%, 중국에 미치는 영향은 1%에 불과했다.

도시별 배출원 조사에서는 각 나라별 다른 수치를 보였다.

서울의 초미세먼지 농도의 중국 기여율은 한국과 일본은 39%라고 조사했지만 중국은 23%라고 발표했다.

일본 도쿄 초미세먼지 농도의 중국 기여율도 한국과 중국은 각각 14%, 16%라고 분석했고, 일본은 30%로 다른 결과를 냈다.

국가별 최적화된 모델 사용에 따라 한국·일본은 미국 환경부(EPA)가 개발한 CMAQ, 중국은 미국 람볼엔비론(Ramboll Environ)사에서 개발한 CAMx를 기반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결과에 차이가 난 것으로 보인다고 환경부는 전했다.

이번 보고서는 한중일 전문가가 공동으로 연구를 추진하고 3국 정부가 연구 결과를 함께 검토해 발간한 최초의 보고서다.

당초 지난해 발간될 예정이었으나 중국 측 이견으로 발간이 연기됐다.

이후 올해 2월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 중국 리간제(李干杰) 중국 생태환경부 장관이 이달 23∼24일로 예정된 제21차 한중일 환경 장관회의 전까지 발간하자고 합의해 보고서가 발표됐다.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이번 보고서는 동북아 대기 질 개선을 위한 국가 간 협의의 귀중한 과학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진나연 기자 jinny1@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