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82년생 김지영’의 주인공 김지영과 그 세대 여성들이 사회에서 가장 고통받고 차별받는 약자이냐고 묻는다면, 대답은 ‘아니오’일 것이다.

82년생 김지영 포스터. 사진=네이버 캡쳐
82년생 김지영 포스터. 사진=네이버 캡쳐

남성 중에도 ‘김지영’보다 더 큰 트라우마로 힘들어하는 사람이 많다. 예를 들면 군 복무 시절 겪었던 신체적 정신적 상처와 같은 것들. 또 부모 세대 여성들이 현재 세대의 ‘김지영’보다 더 고달픈 삶을 살았을 것이다.

지금보다 더 불합리하고 지독했었을 가부장적 제도들을 떠올려보자. 그렇기에 ‘여자만 피해자이냐’, ‘이전 세대에 비하면 사회적 대우가 좋아진 것 아니냐’와 같은 영화에 대한 비판도 나오는 것일 테다.

하지만 ‘82년생 김지영’은 김지영과 여성이 우리 사회의 ‘최대 피해자’라고 주장하는 영화가 아니다. 또 고통받고 차별받는다며 징징거리는 내용도 아니다.

영화는 김지영의 삶과 그녀가 처한 사회적 압력, 차별을 묵묵히 보여준다. 그런 묵묵함이 쌓여 후반부에 폭발되기도 하지만 이 역시 절제된 모양새를 유지한다. 그렇게 영화를 보고 있으면 어느새 김지영의 삶과 아픔에 대해 조금은 이해하게 된다.

누군가를 비판하거나 원망하는 시선은 보이지 않지만, 부정적 역할의 캐릭터가 등장하기는 한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이들 역시 사회 시스템에 놓인 힘없는 개인일 뿐이다.

극 중에 워킹맘을 타박하는 직장상사가 나오는데, 이 사람이 성격이 나빠서 그런 행동을 하는 게 아닐 것이다.

조직 내 관리체계와 성과에 대한 상부의 압박 등이 작용한 결과라고 본다. 그러면 보면 영화를 통해서 남녀 갈등에 관해 이야기하기보다는 영화를 누군가의 희생과 고통을 요구하는 사회 구조와 그에 대한 해결책을 논의하는 계기로 삼아볼 수도 있겠다.

마지막으로 배우에 관해 이야기하고 싶다. 주연을 맡은 정유미와 공유의 연기는 훌륭하다.

고되고 팍팍한 삶을 살아가는 캐릭터를 뛰어나게 소화하는 두 배우의 외모가 눈에 들어왔다.

그동안 건장함을 자랑하던 공유의 드넓은 어깨가 작품 속에선 조금은 작아 보였다.

힘들어하는 아내를 걱정하지만 직접 해줄 수 있는 것이 많지 않은 남편과 잘 어울렸다.

정유미의 넓은 이마는 영화 내내 빛났다. 캐릭터가 처한 현실은 어두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희망을 보여주고 있는 듯했다.

안형준 기자 ah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