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상

"서민들에게는 대출문턱이 높은 새마을금고의 이사장과 직원들이 사채업자와 짜고 100억 원에 달하는 거액을 부당대출해 주고 회수하지 못했다니 정말 한심할 따름입니다."

대전시 중구 Y새마을금고 이사장과 직원들이 사채업자와 결탁, 거액을 부당대출해주고 회수하지 못한 사실이 알려지자 조합원들은 물론 일반인들조차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Y금고 이사장과 직원들이 고객 예탁금으로 펀드에 투자했다 손실을 보자 이를 만회하기 위해 사채업자를 통해 중고자동차 매매상인들에게 부당대출해주면서 자금회수대책을 세우지 않은 점은 납득이 안된다.

특히 Y금고 이사장 등이 지난 2002년부터 2004년 사이에 500여차례에 걸쳐 부당대출을 해주는 등의 부실운영을 하고 있는 데도 감독기관인 금고연합회는 무엇을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대출서류 하나만 빠져도 지적을 하고 문제를 삼는 새마을금고연합회에서 2년여동안 Y금고의 뭉칫돈이 빠져나가고 지난해 경찰 수사가 본격 착수됐는 데도 숨기기에 급급하지 않았느냐는 의문을 떨칠 수 없다.

시중에 일반은행이 많지 않던 시절, 국민 저축증대시책의 일환으로 지역 곳곳에 설립되기 시작한 새마을금고는 서민금고로 사랑을 받으면서 자리매김을 해왔다.

그러나 고객 예탁금으로 부당대출은 물론 직원들이 거액을 횡령하는 등의 부작용이 속출하면서 이제 서민을 위협하는 금고로 인식이 바뀌었고 고객들도 일반은행으로 발길을 옮기는 추세다.

서민의 금고가 서민들로부터 외면받는 이유는 서민을 위한 금융기관 역할을 못하기 때문이다.

이사장 등이 거액을 탕진한 이번 Y금고 사건은 제2금융권의 부실운영을 단편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향후 재발방지대책이 없이는 악순환이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