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웅

원전수거물센터 후보지 선정과 관련해 소모적인 논쟁을 벌여온 지도 벌써 20여년이 흘렀다.

굴업도 사태, 안면도 사태를 비롯해 부안 사태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일들을 겪어 왔으나 결과는 여전히 제자리 걸음이다.

그런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곰곰이 들여다 보면 일부 환경단체들의 맹목적인 반대가 늘 함께 해 왔음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들은 처음에는 원자력발전을 핵무기에 비유하고 수거물센터의 안전성에 근거없는 의문을 제기하는 등 관련 정보에 어두운 일반 국민들에게 막연한 불안감을 심어 주는데 주력하더니 이후에는 밀실행정이니 졸속행정이니 하면서 절차성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하며 국민들의 반대를 이끌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한마디로 반대를 위한 반대논리를 꾸준하게 개발해 이를 바탕으로 부지 선정 작업을 방해해 왔다.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원전수거물센터 유치를 선언하고 주민들이 유치위원회를 조직하는 등 해결의 실마리가 보여 가는 이 때 다시금 그들은 논리적인 정당성이 결여된 주장으로 국민들의 반대를 선동하고 부지선정 절차의 원만한 진행을 방해하고자 하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아직도 쓰레기 소각장이나 매립장 같은 시설이 들어서는 것을 반대하는 지역이기주의가 사라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필수 국가 기간시설의 건설에 이를 이용하여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시키고자 계속 노력한다면 이제는 더 이상 국민들이 그들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환경보호는 환경단체만이 주장하는 전유물이 아니며 환경단체도 이제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자신의 희생을 각오하고 후손들의 앞날을 내다보며 운동에 매진했던 순수함을 되살리고 자신들의 존립기반이 흔들리는 것이 두려워 비합리적인 주장으로 반대를 위한 반대에 매달리는 것을 이제 중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