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위원 칼럼]
이상윤 대전사랑시민협의회 회장

얼마전 급후진하는 차에 한 초등학교 1학년 학생 2명이 사망했다. 1학년 남자어린이 2명이 서로 신발주머니를 갖고, 장난을 치다 차량 밑으로 들어간 신발주머니를 주으려고 들어갔다 미처 아이들을 보지 못한 운전자의 차에 치여 숨진 것이다.

숨진 아이들의 이름만 다를 뿐 그동안 이런 종류의 차량 사고들이 많이 있었다. 이러한 사고들을 통해 우리의 안전문화의식이나 사회적 안전망이 얼마나 허술한지 들여다 볼 수 있다. 만약 가정에서 부모가 차 밑으로 물건이 들어 갔을 때 대처방법을 교육받았다면, 학교에서 선생님이 상기 내용을 교육시켰다면, 운전자가 학교주변에 불법 주정차만 안 했다면, 평상시 불법 주정차 차량을 경찰이 단속했더라면, 운전자가 급후진하기 전에 내려서 뒤를 확인했다면, 운전자가 천천히만 후진했다면, 지나가는 행인이 관심을 갖고 도움을 주었더라면, 막을 수 있었던 사고였다.

안전은 나 혼자 잘 해서 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함께 만들어 가야 한다. 아무리 우리가 사는 도시가 아름답고 삶의 환경이 건강하다해도 안전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아름다운 곳이 될 수 없고 행복할 수 없다. 행복은 안전이 보장되는 세상에서 만들어 진다. 안전은 교육을 통해서 배우고 몸으로 익혀 습관화 돼야지 누가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다. 너와 나가 모두 힘을 합쳐 만들어 가야 하는 문화운동이다. 우리 모두가 안전이란 울타리를 함께 세울 때 우리 모두가 안전하여 행복하고 즐거울 수 있다.

안전문화운동은 민관이 함께 특히 지역민의 참여로 함께 이뤄 나가야 성공할 수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사례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때마침 대전시도 이러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기대가 크다. 대전을 안전한 도시로 만들겠다며, 추진하고 있는 주민참여형 ‘안심마을 사업’이 그것이다.

시는 지난 4월까지 5개 마을을 이미 선정해 마을당 사업비를 지원하고, 그 결과를 평가해 11월말에 안심마을 표준모델을 확정하겠다고 한다.

주민참여의 좋은 대전만의 성공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 실제 일본의 경우 2009년에 각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시민참여형 '교통사고 반감프로젝트' 사업을 공모해 매년 2년간 1억 3000만엔을 지원해 20건 이상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지역에 교통사고를 86%나 감소시켰다.

안전문화도 잘 되고 성공하려면 재정적으로 투자해야 한다는 좋은 사례 중 하나이다. 안전은 이렇게 문화운동으로 정착돼야 한다. 1회성이나 이벤트성, 지도자의 한시적인 리더십만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교육운동으로, 문화운동으로 생활에서 느낄 수 있도록 안전이 체질화 돼야 한다.

또 경고문화와 봉사자들과 시민의 감시문화가 철저해야 한다. 안전을 어겼을 때는 대가가 분명해야 한다. 안전문제만은 봐줘서는 안 된다. 국회연설차 시간이 없어 속도위반을 한 윈스턴처칠에게 속도위반 딱지를 뗀 경찰공무원의 공공성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공공성이 선진국의 안전문화를 지탱해주는 기본이다.

이번에 선출된 지자체장들은 대부분 안전을 정책공약으로 약속했다. 부디 안전문화 정책이 성공해 우리의 안전문화도 세계화 됐으면 한다. 그리고 우리도시는 물론 한국은 안전한 나라라고 하는 국격을 높여주는 정책으로 성공하기를 기대해 본다. 그리고 늘 안전이 보장된 세상이 되기를 희망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